활방구란 무엇인가
활방구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밝혀진 바는 없다. 풀잎피리(草笛)가 악학궤범 등의 고문헌에 실려있고, 궁중에 초적(草笛)을 연주하는 악사를 두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것으로 봐서, 타악기인 활방구의 역사도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다고 활의 역사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활방구의 역사도 그만큼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는 것은 무리다. 활방구라는 용어나 개념이 베 짜기 작업 즉, 목화솜 타는 작업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목화재배 시점부터 그 역사를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다. 일반적으로 고려말 문익점이 중국 원나라에서 목화 씨앗을 들여왔다고 하기 때문에, 활방구의 역사도 그 정도까지 소급하여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삼남(충청, 전라, 경상) 이남에서는 지역에 따라 목화를 ‘미영’ 혹은 ‘명’이라고 했다. ‘무명’이나 ‘면화’의 방언이다. 목화솜을 면화, 미영솜, 무명솜, 명솜 등으로 부른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활방구는 화살을 쏘는 활이 아니라 목화솜을 타는 도구로서의 활을 말한다. 활방구는 솜 타기 작업에서 연행되는 노래와 장단, 악기 등의 통칭이다. 물론 이외에도 둥덩애타령, 베틀노래 등의 토속민요를 연행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씨앗기, 씨아 틀기 혹은 ‘물레 잣기’는 밭에서 목화를 따다가 ‘씨앗이’라는 물레에 넣고 씨를 발라내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끝나면 활을 이용하여 씨를 감싸고 있던 솜을 부풀리게 한다. 이를 말아 실을 만들어야 베를 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활실을 손가락으로 튕기는 작업을 하며 부르는 노래가 유희요 혹은 유흥요로 분류되는 둥당애타령 등의 토속민요들이다. 미영활은 쏘는 활과 같은 구조이므로 매우 간단하게 만든다. 직경 2cm 정도의 대나무를 활 모양으로 휘고 대나무의 양 끝에 삼실을 묶는다. 화살을 쏘는 화살과 구분하기 위해 ‘솜활’이라고도 부른다. 씨앗을 발라낸 솜에 솜활의 활실을 대고 하나, 둘, 셋, 리듬을 맞추기도 하면서 튕기면 솜이 부풀어 오른다. 여기에 장단을 맞추면 악기가 되고 선율을 실으면 노래가 된다. 이를 창호살에 대고 튕기면 창호지가 악기가 되고, 물방구 그릇에 대고 튕기면 물그릇에 엎어둔 바가지가 악기가 된다.
물방구란 무엇인가
남도에서는 흔히 옴박지장단이라 한다. 경기도나 충북지역에서는 옹패기라고 하는데 전라도지역에서 ‘옴박지’라고 하기 때문에 물방구를 옴박지장단이라고 하는 것이다. 질그릇(甕器)에 물을 담고 안쪽에 바가지 등을 엎어 숟가락이나 활솜 따위로 두드리며 장단을 맞추는 타악기 대용품이다. 장구나 북장단에 비해 아마추어적인 장단이라는 폄하의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옹자배기는 일명 옹배기다. 항아리 등의 질그릇이 상하 길이가 긴 것에 비해, 옹배기는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쩍 벌어진 그릇이다. 물 위에 박바가지 등을 엎으면 물 수면과 바가지 내부에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두드리면 ‘동당동당’ 혹은 ‘둥덩둥덩’하는 특유의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악기 삼아 두드리면서 둥덩애타령, 베틀노래 등의 노래를 부른다. 물방구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밝혀진 바는 없다. ‘활방구’나 ‘못방구’와 마찬가지로 ‘방구’의 내력을 추적해보면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질그릇의 역사가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해서 악기 대용으로 활용했던 ‘물방구’를 그 시기까지 올려잡기는 곤란하다. 불교의 법고(法鼓)나 북의 크기가 중간 형태라는 의미의 반고(半鼓), 혹은 민속신앙으로서의 반고나 벅구 등의 사례까지 ‘방구’를 확장하여 생각해볼 여지도 있다. 장구나 북의 타악기에 비해, 생활 도구를 활용하여 악기 대용으로 사용한다는 점은 매우 단순해 보인다. 하지만 목화솜이나 옷감 만들기와 관련된 ‘활방구’, 벼농사 특히 모내기와 관련된 ‘못방구’, 질그릇이나 청자 등을 악기로 활용한 점 등은 단순한 악기의 대용이라는 의미를 넘어선다. 주목해야 할 것은 남도민요 ‘둥덩애타령’과 ‘옴박지장단’ 즉 물방구와의 친연성이다. 옹기 옴박지에 물을 2/3쯤 채우고 박으로 만든 바가지를 엎어 손으로 두드리거나 젓가락, 숟가락 등으로 두드리면서 내는 동당동당 혹은 둥덩둥덩 하는 소리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여인네들이 이를 악기 삼아 노래했기에 ‘둥덩애타령’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다. 덤벙은 ‘연못’의 방언이기도 하다. ‘웅덩이’를 ‘둠벙’이라고 하는 예서 볼 수 있듯이. 둠벙과 덤벙의 어원이 같다. 예컨대 분청사기 중에 덤벙분청이라는 것이 있다. 덤벙 채식(彩飾)은 도자기 장식에서 백색이나 색깔이 있는 흙물에 도자기를 덤벙 담갔다 해서 붙인 이름이다. 물에 어떤 무거운 물건이 떨어지며 내는 소리다. 텀벙, 덤버덩, 덤벙, 덤벙덤벙, 덤버덩덤버덩, 담방 등의 용례가 있다. 실제로 물방구의 소리가 이러하다. 담방담방이나 담방은 작고 가벼운 물건이 물에 떨어져 잠기는 소리를 말한다. 둥덩둥덩이나 동당동당과 같은 말이다. 남도민요 둥덩애타령이란 호명이 여기서 나왔다는 점은 지난 칼럼 중 분청 관련 글을 보면 도움이 된다.
남도인문학팁
활방구와 물방구 치던 마음
활방구의 활은 화살 쏘는 활과 같이 생겼다. 구조와 형태가 매우 간단하기에 악기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성들의 베틀 작업과 베짜기 일생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악학궤범에 나오는 초적(草笛)보다 오히려 더 원시적이고 인간적인 전통 악기다. 강춘기 시인의 경우에는 <어머니와 무명활>을 시집의 제목으로 삼았다. 그만큼 서민들의 삶에 깊숙하게 침윤되어있는 풍경이라는 뜻이다. 물방구도 이에 못지않다. 이앙법 전래 이후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못방구’나 목화씨 수입 이후 활성화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활방구’에 못지않게 질그릇에 물을 담아 박바가지 등을 엎어두고 손이나 젓가락 등으로 두드리며 노래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하찮은 일상일지라도 혹은 볼품없는 소품일지라도 그 안에 담긴 맥락이 웅숭깊은 것들이 있다. 전라도 토속민요 중의 대표격인 둥당애타령이란 호명이 여기에서 비롯되었고 여성들의 생활사 속에 깊숙하게 스며들어 있다는 점에서 활방구와 물방구의 의미는 생각보다 깊고 넓다. 보이는 것만큼 넓어지고 생각하는 것만큼 깊어진다.
편집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