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2004년 수능 비리에 버금가는 대형 사건"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건사고
교육계 "2004년 수능 비리에 버금가는 대형 사건"
사건 이후 수능 핸드폰 반입 금지||첨단기술 이용 또 부정행위 발생||재시험 유력…해당학교에 권고
  • 입력 : 2022. 07.26(화) 17:38
  • 도선인 기자
광주시교육청 전경
"이건 2004년 광주에서 벌어진 수능 부정행위에 버금가는 범죄죠. 보도를 보고 너무 놀랐어요."

광주의 모 사립고등학교 재학생 2명이 4층에 있는 교무실까지 외부에서 타고 들어가 교사 컴퓨터를 해킹한 사건과 관련, 지역 교육계는 18년 전의 악몽을 떠올렸다.

바로 2005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였다. 해당 사건이 큰 주목을 받았던 것은 이번 사건과 마찬가지로 당시로서는 첨단 기계인 휴대폰을 이용한 조직적인 부정행위였기 때문이다.

26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2004년에 치러진 2005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그야말로 최악의 수능이었다. 특히 광주 교육계는 명예가 크게 실추됐다.

당시 부정행위를 주도한 학생들은 광주 소재 중고등학교 동창들이었다. 이들은 각 학교에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확보한 뒤, 평소 알고 지내던 대학생 선배들의 학생증을 빌려 부정행위에 사용할 '바(Bar) 형' 휴대전화를 구입했다.

휴대전화 부정행위에는 일명 '선수'라고 불리는 학생들이 휴대전화 2개를 들고 고사장에 들어가 어깨나 허벅지 부위에 부착한 뒤 정답 번호 숫자만큼 두드려 신호음을 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근처 고시원에서 대기하던 후배들은 그 답을 다른 수험생들에게 문자메시지로 전달했다.

해당 사건은 사전에 첩보를 인지했지만 광주시교육청의 비협조로 수사를 하지 못한 경찰이 수능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하면서 밝혀졌다.

이동통신사 문자메시지 조사 결과 광주를 비롯 전국적으로 10개조 21명이 수능 부정행위에 연루됐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지면서 사건은 확대됐다. 총 314명의 성적이 무효처리 됐고, 부정행위를 주도한 7명에게는 실형이 선고됐다. 아울러 교육부는 2006년부터 휴대전화·전자사전 등의 스마트기기의 고사장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이 같은 악몽이 아직도 생생한 탓인지 광주시교육청은 이번 광주 모 사립고등학교 시험지 유출과 관련, 경찰 수사와 별도로 곧바로 감사에 착수할 것을 표명했다.

감사팀은 시험문제 출제 과정부터 원본·답지 보관, 인쇄, 학생 배포까지 전반의 과정을 살펴보고 학생들이 교무실에 2차례 침입해 교사의 컴퓨터에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허점이 있었는지 등도 파악할 예정이다.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원들 중에는 과거 2005년 수능 시험의 악몽이 되살아나는 것 같다고 고개를 젓는 사람들도 있다"면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개선하고 책임자도 문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