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Q&A> 기업정보의 모든 것, 'DART'에서 확인하세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금융.재테크
금감원 Q&A> 기업정보의 모든 것, 'DART'에서 확인하세요
금감원 광주전남지원·1332
  • 입력 : 2021. 01.10(일) 13:34
  • 편집에디터
【Q】 최근 국내 주식시장은 일반투자자의 참여가 크게 증가하면서 일반투자자의 거래규모 및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의하면 주식시장 전체 거래대금 중 개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63.5%(거래대금 1390조원)에서 금년 1~11월중 75.5%(3774조원)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처럼 일반투자자의 주식시장 참여가 크게 증가하면서 합리적인 투자판단을 위해 사업내용, 경영상황, 재무구조 등 투자대상 기업의 정보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1999년 4월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중인 금감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은 상장법인 등이 공시보고서를 인터넷으로 제출하고, 투자자 등 이용자는 제출 즉시 인터넷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종합적 기업공시 시스템으로 이러한 기업정보 수요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다. 동 시스템은 사업보고서 등 정기공시, 외부감사관련 공시, 지분공시, 발행공시 등 금감원의 공시사항 뿐만 아니라 한국거래소 및 공정위 공시사항도 함께 제공하고 있어 투자자 등을 위한 종합정보 사이트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다만, 금감원이 제정하는 공시서류 종류만 총 104개(거래소 수시공시 제외)로 공시정보가 너무 다양하여 필요한 정보를 어디에서,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측면도 있어 금감원은 일반투자자의 접근성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지속 개선하고, 활용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일반투자자 및 이용자 입장에서 'DART'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A】 DART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전자공시시스템' 메뉴를 클릭하거나, 직접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앱(App) 및 모바일웹(m.dart.fss.or.kr)을 통한 모바일 전자공시(mDART)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DART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화면 우측의 '이용자가이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뉴이용가이드', '정보검색가이드', '자주묻는질문' 메뉴가 있어 시스템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 원하는 정보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DART의 '공시정보 활용마당' 메뉴를 통해 기업이 제출한 공시서류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추출하여 회사별로 비교·분석할 수도 있다. DART 상단의 '공시정보 활용마당' 메뉴를 클릭하면 '사업보고서 주요정보조회', '재무정보 조회', '재무정보 일괄다운로드', '지분공시 종합정보 조회'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사업보고서 주요정보 조회'에서는 정기보고서 내용 중 사용자가 많이 보는 12개 항목에 대해 회사명, 사업연도, 보고서명, 법인유형 등 다양한 검색조건으로 조회할 수 있다. '재무정보 조회' 중 '회사간 주요계정 조회'를 통해서는 주요 계정항목을 다수의 회사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최근 금감원은 일반투자자가 기업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사업보고서를 중심으로 반드시 읽어야 할 항목, 관련 정보 찾는 방법 등 총 6개의 주제를 10분 내외의 간략한 동영상 시리즈로 제작하여 금감원 홈페이지(업무자료/공시·회계/기업공시제도일반) 및 DART(공시업무/기업공시제도일반)에 순차적으로 게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투자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활용방법 등을 익힐 수 있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