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피해 4000건 넘겨…대책 촉구 목소리 높아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건사고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피해 4000건 넘겨…대책 촉구 목소리 높아
광주 광산구, 피해 주민 2차 임시 대피소 운영
주민건강·고용불안·재난 대응 부실 논란 확대
노동단체 “시민 안전·건강 대책 마련” 주장
광산구의회 “고용위기지역 지정 추진”요구
  • 입력 : 2025. 05.21(수) 18:17
  • 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
광주 광산구의회 의원들이 21일 광산구의회 정문 앞에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와 관련해 주민 피해 지원 및 고용대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광산구의회 제공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인한 주민 피해 접수가 4000건을 넘어섰다. 소방당국이 지난 20일 오전 11시 55분께 ‘완진’을 선언하며 사흘간 이어진 대형 화재는 일단락됐지만, 주민 건강 피해와 고용 불안, 안전관리 미비 등 후폭풍은 확산되고 있다.

21일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금호타이어 화재와 관련된 피해 신고는 총 4147건(2405명)이다.

이 가운데 두통, 어지럼증 등 인적 피해가 2296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차량 분진 등 물적 피해는 1448건에 달했다. 피해 조사는 이달 28일까지 계속된다.

광산구는 화재 발생 첫 날인 지난 17일 오후 운영했던 1차 임시대피소(광주여자대학교 체육관)에 이어, 하남 다누리체육센터에 2차 임시대피소를 추가 설치했다. 불길이 잡힌 뒤에도 악취, 낙하물 등으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피해 호소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 조치다.

광산구는 인근 아파트 주민 중심으로 대피 수요를 파악하고 있으며, 수완문화체육센터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1차 대피소 이용자는 137세대 249명이다.

지역 노동계와 정치권에서는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전남노동안전보건지킴이는 이날 성명문을 내고 “이번 화재는 기업의 안전관리 부실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재난 대응 시스템 부재를 드러낸 중대한 환경·사회 재난”이라고 지적하며 △금호타이어의 안전보건 시스템 전면 점검 △유해화학물질 누출 조사 및 결과 공개 △전 노동자 휴업수당 지급과 고용안정 등을 촉구했다.

광주 광산구의회도 이날 정부에 주민 피해 지원 및 고용 대책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박해원 광산구의원은 성명서 대표 발표자로 나서 “공장 재가동까지 최소 1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여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범정부 차원의 결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권유 등 구조조정에 나선 사례가 있는 만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역시 직원 해고 등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