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팔라지는 ‘전남 인구절벽’… 청년 눈길 못끌면 답 없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탑뉴스
가팔라지는 ‘전남 인구절벽’… 청년 눈길 못끌면 답 없다
현실이 된 농촌 소멸과 전남도 대책
전남 22개 시.군 중 16곳 30년 내 사라질 위기
열악한 산업구조로 좋은 일자리 없는 게 원인
道 ‘청년마을로 프로젝트’ 시행… 관건은 참여
  • 입력 : 2018. 09.26(수) 21:00
  • dhchoi@jnilbo.com
매년 가팔라지는 ‘인구 절벽’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민선 7기 전남도가 맞닥뜨린 가장 뜨거운 과제다.

인구는 생산과 소비의 주체인 경제력의 핵심요소로,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들 경우 생산뿐만 아니라 소비마저 위축돼 경제 발전은 물론 지역의 미래 희망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농촌에선 고령화까지 빠르게 진행되면서 인구 절벽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머지않아 상당수 전남 지자체가 ‘소멸위기’를 맞을 것이란 우울한 전망까지 하고 있다.

●현실이 된 농촌소멸.지방소멸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8월말 기준 전남 총인구는 188만4285명이다. 지난해 12월말 189만6428명에 비하면 8개월새 1만2143명이나 줄어들었다.

전남 인구 감소는 지난 2004년 200만명 선이 무너진 데 이어 지난해는 190만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 같은 인구 절벽은 농촌 지역일수록 더욱 심각하다. 전남 22개 시.군 중 인구가 가장 적은 구례군은 2만6966명(2018년 6월말 기준)에 불과하다.

3만~4만 명대인 기초단체도 곡성군(3만121명), 진도군(3만1566명), 함평군(3만3973명), 강진군(3만6637명), 장흥군(3만9697명), 신안군(4만1960명), 보성군(4만3504명), 장성군(4만6007명), 담양군(4만7111명) 등 9곳이나 된다.

전남은 사망자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데드크로스’ 현상이 지난 2013년 처음 발생한 이후 4년 연속 이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2030년에 인구가 170만 명대로 추락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고령화도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전남지역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21.5%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특히 전남지역 22개 시.군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시.군이 17곳이나 됐다. 이 중 10곳은 30%마저 넘어섰다.

이 가운데 고흥지역의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38.2%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5곳만이 20%를 밑돌 정도로 전남지역 초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전남지역의 고령화가 지속되는 이유는 농어촌 인구는 그대로 남아있으면서 노인인구는 증가하고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이 빠져나가 출산율이 저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은 1970년 이후부터 20대 청년인구가 연평균 6000명이 유출됐다. 특히 2010~2017년까지 20대 청년인구 67%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면서 고령화를 부추기고 있다. 이로 인해 17개 광역단체 연평균 인구 증감율이 -0.68%로 전국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인구 감소는 또 다른 인구감소의 악순환이 됐다. 청년층 감소로 전남의 지난해 혼인건수는 8000건으로 2005년 1만건 대비 12년새 20%가 줄었다. 초혼 연령도 남자 33.1살, 여자 29.8살로 2년 상향됐다.

초혼이 늦어지고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로 저출산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전남의 출산율은 1.33명, 출생아 수는 1만2532명이었다.

2045년 전남은 인구 2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될 전망이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7)에 따르면 20145년 전남 총인구는 174만1000명으로 2000년 대비 14.4% 감소, 고령화율 45.1%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추계대로라면 2030년 2045년 생산가능 인구와 고령인구비율이 거의 동률이 될 것으로 보인다. 농어촌 공동화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한국고용정보연구원은 전남 22개 시.군 중 고흥을 포함한 16개 시.군을 30년 내에 사라질 위기에 처한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했다.

●전남도 ‘청년 마을로 프로젝트’

인구절벽의 주된 원인은 좋은 일자리가 없어서다. 좋은 일자리가 없으니 삶의 질이 떨어지고 출산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때문에 고령화와 인구절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이견이 없다.

끊임없이 반복되는 청년일자리 부족과 농촌소멸 해소를 위해 전남도가 작심하고 만든 것이 ‘전남 청년 마을로 프로젝트’다.

‘마을로 프로젝트’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시행한 ‘전남지역 일자리 늘리기 아이디어 공모전’의 수상작을 토대로 시책화한 사업이다.

지역별 마을 사업장에 청년활동가를 배치해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청년일자리 사업이다. 마을로 간 청년활동가는 농어업법인 및 활력을 잃어가는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자활기업 등에 소속된다. 그들은 농어촌의 영세 소규모 사업장의 최대 현안인 판로개척에 도움을 주기 위한 온라인 마케터 등으로 활약하게 된다.

전남도는 이 사업이 제자리를 잡으면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뿐만 아니라 소멸해 가는 마을공동체의 붕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초부터 100명을 선발해 매월 200만원을 지원했고 8월부터는 참여 인원을 500명으로 늘렸다.

전남도는 ‘마을로 프로젝트’와 함께 ‘내일로 프로젝트’도 펼치고 있다. 시.군 및 공공기관에서 1년 동안 일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쌓고 자격증을 취득한 다음 민간 기업에 취업을 연계하는 공공형 청년일자리 사업이다. 주택에너지 컨설턴트, 지식 공유형 일자리 사업, 바이오의약품 관리 등의 사업을 통해 미래유망 틈새 직업군에서 새로운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전남도는 또 찾아가는 청년 희망버스를 통한 맞춤형 취업 지원사업도 시행하고 있다. 청년 희망버스는 그동안의 수동적인 일자리센터의 역할을 벗어나 적극적으로 청년과 구직자를 찾아가는 일자리 상담창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로부터 상담을 받은 구직자들이 직접 취업을 원하는 업체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면접을 통해 일자리를 얻을 기회를 갖고 있다. 지난 3년 간 72개 기업에 240여 명의 청년이 일자리를 찾았다. 올해는 12차례 희망버스가 달려가 40개 지역 기업에 120명 가량의 구인.구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민선 7기 김영록 전남지사의 공약사항인 ‘전남 일자리 플랫폼’이 구축된다. 일자리 플랫폼은 중앙부처, 시.군, 일자리 관련 기관과 일자리 정보를 통합.공유해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 일자리를 연결하고, 일자리정책 기획에서 사업 집행.평가.취업연계까지 원스톱 서비스가 이뤄지는 일자리 컨트롤타워다. 도시형 일자리, 농촌형 일자리 등 전남의 현실을 반영한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하고, 미래 고용예측 기능도 수행한다.

내년부터는 ‘청년 생애 최초 국민연금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만 18세가 되는 청년의 국민연금 최초 1개월분 납부액(9만원)을 도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통해 도내 거주 청년들의 생활안정과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으로 청년층의 유입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신혼부부.사회초년생의 빠른 경제적 자립을 유도하기 위한 ‘청년 취업자 주거지원금 지원’사업도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만 39세 이하의 전남 청년 근로자에게 매월 10만원씩 주거 지원금을 지급해 청년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전남 정착을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전남을 떠난 청년들이 이 같은 시책에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가 사업 성패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 관계자는 “청년이 정착하도록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스마트 팜.양식, 농수축산업 혁신 밸리 조성, 한전 공대 유치, 에너지 사이언스 파크 조성, 1000개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전남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동환 기자
dhchoi@jnilbo.com
탑뉴스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