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고등학생 90% 강제 야간 자율학습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
광주지역 고등학생 90% 강제 야간 자율학습
인권회의 등 인권단체 실태조사
보충수업ㆍ자율학습 강요 여전
시교육청 실효성 단속 촉구
  • 입력 : 2015. 05.08(금) 00:00

광주지역 인권단체들이 강제 야간자율학습 중단과 광주시교육청의 실효성 있는 단속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어린이청소년친화도시협의회(협의회)와 광주인권회의 등 인권단체들은 7일 광주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야간자율학습(이른바 야자) 참여 학생 10명 중 8~9명이 야자를 강요받으며, 보충수업이나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강력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협의회 측이 지난 3월28일부터 4월12일까지 광주지역 60개 국ㆍ공ㆍ사립고생 520명을 비롯, 98개 초ㆍ중ㆍ고 재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강제학습에 대한 온ㆍ오프라인 설문조사 결과다. 이날 협의회가 내놓은 자료를 보면 고교생의 86.3%가 "야자가 강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불참시 불이익이 있거나 학부모 면담을 요구한다"고 답했다.

'최근 1년새 아침 자율학습에 강제로 참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8.4%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58.3%는 점심 자율학습에 57.0%는 주말ㆍ휴일 자율학습에 "강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점심 야자는 주로 영어듣기, 주말과 휴일 야자는 심화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후 보충수업의 경우도 "(사실상) 강제적이다"고 답한 학생이 83.8%에 달했으며 일부 학생들은 "동의서를 돌리긴 하지만 강제나 다름 없다", "불참시 교장ㆍ교감 결재를 맡아야 하고, 1학년은 전원 강제로 참여한다"고 답했다.

인권단체 등은 "광주시교육청이 정규수업 외 교육활동에 대한 강력한 지침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가인권위에 인권침해 진정서를 낸 데 이어, 6월 중으로 UN한국위원회에 아동권리협약 위반으로 제소할 방침이다.

홍성장 기자
사회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