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단체장 합의'… 가능성 커지는 목포·신안 통합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목포시
'양 단체장 합의'… 가능성 커지는 목포·신안 통합
양 시·군 통합 시기 조율 ‘주민 투표’ 방식 유력|| 6차례 도전 당시 무안보다 신안 반대기류 덜해|| 통합시 30만 인구·예산 2조원 ‘전남 1위’도시로
  • 입력 : 2020. 07.19(일) 18:55
  • 목포=정기찬 기자

김종식(오른쪽)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가 지난 10일 목포해양대에서 열린 '신안·목포 통합 토론회'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김종식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가 행정통합을 합의하면서 무안·신안 통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과거 6차례 무안반도 통합 과정에서 목포시를 제외한 무안·신안은 반대기류가 강했다. 주민투표 당시 무안은 무려 5차례 반대했고, 신안은 2차례 반대한 바 있다. 한번은 주민투표가 아예 무산되기도 했다. 반면 목포는 5차례 찬성했다.

 양 지자체 중 상대적으로 반대기류가 덜한 신안과 목포간 통합 시도라는 점에서 성공 가능성이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특히 통합은 양 지역 단체장간 첫 합의로 이뤘다는 점에서 의미도 크다.

 신안군과 목포시의 우선 통합은 그동안 침체된 전남 서남권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통합 시기와 방법은

 양 단체장은 신안군과 목포시의 통합 로드맵도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다만 시기에서는 입장차가 있다.

 김종식 목포시장은 "특별법 제정이 끝나고 세부준비 절차까지 마치는 등 빠르게 진행하면 오는 2024년 총선과 같이 통합시장 선거를 치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박우량 신안군수는 "여러가지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오는 2026년 7월1일 정도를 통합 시점으로 잡아도 될 것 같다"고 밝혔다.

 통합방식은 '주민투표' 방식이 유력해 보인다. 투표는 주민투표권자 총수의 100분의 1이상 50분의 1이하의 범위로 이뤄진다. 한마디로 선거 유권자의 2%이상만 참여하면 주민투표가 가능하다.

 2014년 충북 청주시, 청원군의 통합 당시 주민투표로 반발없이 무사히 통합이 이뤄진 바 있다. 반면 지난 2010년 창원·마산·진주간 통합은 단체장끼리 확정지었다가 주민들의 반발을 사면서 적잖은 후유증을 겪기도 했다.

 신안군 관계자는 "통합 방식을 시장·군수 또는 의회가 할것이 아니라 주민투표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6차례 무산…"이번만큼은"

 무안군과 목포시·신안군이 포함된 무안반도 통합은 1994년 이후 6번이나 추진됐다.

 무안반도 통합은 그동안 6차례 시도 중 여론조사가 중지된 한차례를 제외한 5차례에 걸쳐 찬반을 묻는 주민여론조사가 실시됐다.

 여론조사에서 무안군은 "지역실정은 무시한 통합"이라며 일관되게 반대 입장을 보였다.

 반면, 신안군은 참여하지 않은 1994년 첫 여론조사를 제외한 4차례 중 2차례는 찬성율이 79~81%에 이르렀다. 신안주민 상당수는 목포와의 통합에 긍정적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이번 신안군과 목포시의 행정통합은 무안군이 제외된채 추진된다. 무안군은 빠졌지만, 단계적 통합의 첫 출발점으로 성사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신안군과 목포시의 양 단체장이 통합의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면서 시·군통합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통합시 시너지 효과…"옛 영광 재현"

 전남 서남권 중심도시인 목포시는 일제강점기 '3대항 6대도시'의 옛 명성은 오간데 없고 쇠락의 길을 걸은지 오래다.

 전남 제1의 행정도시를 자부했으나 지금은 전남 동부권 도시 등에 밀려 5대 도시로 추락하는 등 위상 또한 예전만 못하다.

 반면 1995년 순천시(순천·승주)와 광양시(동광양시·광양군) 통합, 1998년 3려(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을 이룬 동부권 도시의 도시경쟁력은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특히 목포시의 협소한 면적은 미래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목포시 면적은 47만㎡로 신안군의 한 행정구역인 압해읍 67만㎡에도 미치지 못한다. 목포시와 신안군의 행정통합은 다양한 분야에서 상생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합시 인구는 30여만명 규모로 도청소재지 배후도시로서의 위상은 물론 예산 2조원대의 자생능력을 갖춘 도시로 성장이 기대된다.

 또 자치단체별로 운영해야 하는 각종 공공시설물의 중복투자와 관리비용이 절감돼 예산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시와 농어촌의 상호보완성은 시너지 효과 극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농어촌 특례제도를 통한 중앙정부의 인센티브 확보는 물론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판매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행정구역 통합시 특별교부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목포시와 신안군이 통합할 경우 특별교부금은 10년간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행정의 이원화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10일 오후 목포해양대학교에서 열린 '신안·목포통합' 토론회에 앞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목포=정기찬 기자 gc.j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