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 수급조절 선제 대응이 양파 가격 안정화로 가는 길"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농수축협·산림조합
"양파 수급조절 선제 대응이 양파 가격 안정화로 가는 길"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위해 뛴다=노은준 무안농협 조합장||양파 주산지 무안지역 농가 '최악의 가격폭락' 어려움 가중||정부 대처미흡 속 양파전량 수매 통해 양파농가 피해 최소화||대처품종 개발·재배농법 개선·최신 농기계 도입 등 자구노력
  • 입력 : 2019. 08.26(월) 18:14
  • 김성수 기자 sskim@jnilbo.com

노은준 무안농협 조합장은 양파 가격안정화를 찾기 위해서는 정부가 양파 수확이전에 생산량을 조기에 예측, 빠른 수급조절 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농업 분야에도 '3년 주기'란 말이 있다. '세차례 농사를 지으면 두번은 망쳐도 한번은 성공을 거둔다'라는 의미로 한번이라도 농산물이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확고한 믿음 때문에 농민들은 매년 농삿일에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하지만 3년째 최악의 가격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양파농가는 이런 희망 마저 사라지고 있다.

전국 최대 양파 주산지로 꼽히는 무안지역 양파농가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다. 다행스러운 건 현재 양파시세는 생산원가에도 못미치지만 무안 양파농가들이 힘겹게 버티는 이유는 계약재배를 통해 양파 가격을 보존해주고 있는 무안농협이 버팀목이 돼주면서다. (사)한국양파산업연합회장을 맡으며, 양파농가를 대변해주는 노은준 무안농협 조합장은 "양파 가격폭락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양파 수급조절 대응이 미흡했다"는 아쉬움을 토로했다.

노 조합장은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정부대책이 나오는데 양파생산량을 바라보는 통계치와 생산농가, 유통업계, 현지농협 등 산지간의 큰 괴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통계청도 통계치의 잘못을 인식하고 양파생산량을 148만톤으로 수정발표 했지만 최초 발표보다 무려 20만톤이 초과된 상황이었다"면서 "농협 등이 주축이 돼 5만 톤이상 격리조치가 필요하다고 농림축산식품부에 건의했지만 정부는 6000톤씩 2만 4000톤 격리에 그치면서 초기에 소극적 대응으로 양파값이 연일 바닥세에서 회복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그나마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도 지방자치단체와 농협이 5만4000톤을 자체 폐기하면서 농가 피해는 최소화 됐다는 게 노 조합장의 설명이다.

특히 무안농협은 관내 양파농가의 가격안정에 큰 힘이 됐다. 무안농협은 올해 관내 617개 농가와 100만1906㎡( 30만3157평·) 규모의 계약재배를 했고 이후 계약재배 농가 양파 생산량 9097톤 중 6035톤을 8000원(20kg)에 수매했고, 나머지는 폐기처분했다. 비계약 농가도 긴급수매를 통해 4880톤을 7000원(20kg)에 사들여 시장격리했다.

노 조합장은 수급조절 품종인 양파가 3년째 가격안정화를 찾지 못한데는 정부의 가격안정책이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에 맞춰져 있어서라고 지적했다. 노 조합장은 "정부는 양파 등을 8대 수급안정품목으로 정하고 '수급안정'을 기준으로 가격상승·하락시 주의·경계·심각 단계로 나눠 수급대책에 들어간다"면서 "가격이 상승할때는 즉각적인 수입량을 늘려 초기에 가격을 안정화 시키지만 가격 하락시에는 정부 정책이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 결국 농가는 가격상승 효과는 누려보지도 못하고 가격하락 고통만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파 가격 안정화를 위한 자구노력도 펴고 있다. 노 조합장은 "현재 품종을 중생종으로 빠르게 품종변화를 꾀할 계획이다"면서 "특히 관행농법을 탈피하고 양파를 심는 폭을 기존 1.8m에서 1m로 고랑 수를 늘리는 반면 앞뒤 간격을 촘촘히 해 재배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최신 양파이양기 3대 보급, 양파 비닐, 토양 개량자제 등을 적극 지원, 계약재배 농가를 기존 260농가에서 500~1000여농가로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정부의 농가소득을 보존할 정책도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노 조합장은 "정부가 지난 2017년 양파 등을 대상으로 한 소득보장 보험 정책을 내놨다. 좋은 제도로 농가의 호응이 높았다. 문제는 정책을 악용하는 일부농가들의 부정수급이 지적되면서 지난해 예산을 축소하고 올해는 아예 폐지 수준에 놓여 있다"면서 "자동차보험도 연간 부정수급자가 5%에 달한다. 그런데도 보안책부터 마련하겠다는 노력보다는 보험정책을 1년 6개월만에 폐기하는데 급급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우리나라는 제조분야를 중심으로 수출산업에 집중하면서 농업은 희생양이 됐다. 근대화의 초석을 쌓아 올리는데 든든한 밑돌이 되어준 게 바로 농업이다. 그만큼 농업 분야에 대한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 '농사를 지어 부자가 되게 해달라'는 거창한 요구도 아니다. 그저 생계만이라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농가소득'이 농가의 바람이다.

김성수 기자 sskim@jnilbo.com seongsu.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