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승연 작 '당신은 누군가의 바다2' 기후위기, 질병, 환경문제 등 오늘날 인류가 처한 상황에 대한 반성과 미래적 회복에 대한 담론이 미디어아트를 통해 펼쳐진다. 광주문화재단 미디어 338에서는 오는 9월10일까지 유네스코 비전 연계 릴레이전으로 '리커버리(Recovery): 미래적 회복' 두번째 전시가 진행된다. 이번 릴레이 전시는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로서 유네스코 기조인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기반으로 기획됐다. 전시에는 김안나, 이승연 작가가 참여해 기후, 날씨, 환경 등을 비롯한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예술형식을 통해 표현한다. 전시는 작가별 개인전시와 시민참여형 퍼포먼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첫 번째 전시로는 지난 6월1일부터 7월16일까지 진행된 김안나 작가 '비욘드 휴먼(Be...
박상지 기자2021.08.02 16:31'디-레볼루션(d-Revolution)' 주제의 2021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작품 설치 등 본격적인 행사 준비에 들어간다. 광주디자인진흥원은 다음달 1일부터 10월31일까지 광주비엔날레관 등에서 열리는 2021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속에서 기술과 감성의 의미있는 콜라보를 디자인을 통해 선보인다. 행사의 주제인 디-레볼루션은 디자인(Design)과 레볼루션(Revolution)의 합성어로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이끈다는 뜻이 담겨있다. 행사는 5개 본 전시와 특별전...
박상지 기자2021.08.01 16:08은암미술관에서 오는 8월 20일까지 한‧중 예술교류전 '기억과 유대(記憶與紐帶)'가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중국 충칭(重慶)직할시의 서남(西南)대학 교수진과 중국 유명 중견작가들이며, 참여작가들은 자신의 고유한 표현방식으로 재해석한 평면회화‧조소‧영상매체 등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서 충칭의 항일정신과 현재의 도시 이미지 등을 선보이게 된다. 중국 충칭은 대한민국과 같은 아픔을 가지고 있지만 재도약해 성장을 이룬 도시다. 백범 김구 선생과 애국지사들이 해방 직전까지 체류했던 곳이기도 하다. 대한민국과 중국의 항일정신에...
박상지 기자2021.07.26 16:43홍윤리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가 미국 뉴욕에 위치한 비영리 미술인 지원단체 알재단 (AHL Foundation)의 '2021 알재단-최월희 메모리얼 작가 그랜트 (AHL-Wolhee Choe Memorial Art Writers Grant)' 수상자로 선정됐다. '알재단-최월희 메모리얼 작가 그랜트'는 2017년부터 30여 년 간 뉴욕대 폴리텍대학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문학과 미술가를 미국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한 고(故) 최월희 뉴욕대(NYU) 명예교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최 교수의 남편인 고 로버트 훅...
박상지 기자2021.07.25 15:51문소현 작 '터지는 폭죽들'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인 '빛'전은 21년 전 하정웅 선생의 메세나 정신을 기리고 광주시립미술관의 변혁의 돌파구로서 청년작가 지원과 발굴을 위한 제도적 운영을 위해 개최됐다. 지난 2001년 첫 전시 이래 '빛'전을 거쳐간 청년 작가들 중 일부는 중견작가로 성장해 중앙과 지역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 미술계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고, 여러 초대작가들 역시 개성적이며 실험적인 미술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가고 있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빛 2021' 역시 전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도유망한 청년작가 4인이 초대됐다. 문소현(경기), 정정하(광주), 이윤희(대전), 문지영(부산) 작가가 그 주인공이다. 다양한 장르로 각각의 삶에 대한 성찰과 이야기를 담은 선정작가들의 작품이 '어떤날, 어떤 이야기'를 주제로 24일부터 11월28일까지 광주시립미술...
박상지 기자2021.07.22 15:52서상희 작 '메타_가든 속 가상정원 21_ver'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인터넷 기술을 상징하는, 새롭고 강력한 '메타버스(metaverse)'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현대미술에 첨단과학기술이 접목된 '가상'의 예술정원이 광주시립미술관에 펼쳐진다. 광주시립미술관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기념 특별기획으로 '메타_가든'전을 오는 10월31일까지 미술관 본관 제1,2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AI,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해오고 있는 금민정, 노상희, 박고은, 소수빈 작가와 디지털 영상화 설치를 중심으로 한 김형숙, 박상화, 서상희, 손봉채, 윤제호, 이진준, 정문열 작가 등 모두 11명이 참여한다. 이번 '메타_가든'전은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활동이 이...
박상지 기자2021.07.20 16:30이강하 미술관 전시장 전경. 이강하 미술관 제공 지난 2월 22일(현지시각) 퍼서비이런스(Perseverance)가 화성에 착륙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로버(이동형탐사로봇) 퍼서비이런스가 화성으로 내려가는 순간을 찍은 동영상을 전 세계에 공개했다. 화성 궤도에 진입한지 하루가 지난 11일 5시 36분 2만4700㎞ 고도에서 촬영한 것이다. 동영상에는 신비로우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화성의 모습들로 가득차 있었다. 초식성 공룡을 닮은 흥미로운 암석에서부터, 충돌로 인해 다른곳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기암괴석, 마치 하트를 안고 날아가는 천사를 닮은 화성 남극의 모습 등 화성의 모습을 본 네티즌들은 상상력을 동원해 의미부여를 했다. 알 수 없는 '미래'를 향한 인간들의 시도와 노력은 일정부분에서 '예술'과 닮아있지만, 미지의 세계에 대한 인간의 상상력과 아름다움 그리고 ...
박상지 기자2021.07.11 15:48안호경 작 '그대 그리고 나'. 갤러리 바로 제공 섬세한 점들로 아련한 고향의 풍경을 캔버스에 담아내고 있는 신안출신 안호경 작가가 광주에서 두번째 전시를 연다. 오는 8월9일까지 광주 북구 신용동 갤러리 바로에서는 안 작가의 개인전 '힐링과 희망, 사랑의 에너지로 소통하다'전을 감상할 수 있다. 바로문화원에서 주최하고 바로병원 문화센터에서 주관하는 이번전시는 코로나19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는 이웃과 바로병원을 찾는 환우들에게 희망과 활력의 에너지를 선사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시에서 안 작가는 특유의 작업방식인 섬세한 점들의 집합을 통해 자연과 사람의 형체를 담아낸 근작들을 선보인다. 새로운 각도에서 우리 일상을 바라보면서 신선한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 작가는 빨강, 초록, 파랑 등의 원색을 활용해 자연을 표현, 관람자의 공감을 얻고 있다. 점을 찍는 붓 터치...
박상지 기자2021.07.05 16:31광주시립미술관과 김대중컨벤션센터는 MOU체결을 통해 지역민에게 미술에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고, 지역작가들의 예술활동을 활성화 하고자 찾아가는 미술관 '예술로 통하다'전시를 8월29일까지 개최한다. 광주시립미술관 찾아가는 미술관은 미술관 소장품을 외부와 협력, 전시해 시민들이 미술을 더 가깝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의의가 있다. 이번 김대중컨벤션센터 시민문화복합공간 갤러리 화해(畵解)는 예술로 지역민과 소통하고자 기획한 공간이다. 새롭게 단장한 광주문화공간을 기념하기 위한 개관전으로 광주시립미술관의 '찾아가는 미술관'이 개최됨으로써...
박상지 기자2021.07.01 16:39광주공원에서 굽어본 1910년대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40~50년 전만해도 광주천은 물이 맑고 풍부했다. 시민들은 천에서 고기를 잡고 아이들은 물놀이를 하거나 목욕을 했다. 아이들이 물놀이하는 옆에서 어머니들은 빨래를 가지고 와 방망이로 빨래를 두드리며 하얀옷을 만들어냈다. 광주천은 주부들 사이에서 대중적인 빨래터였던 까닭에 이곳에 드럼통을 걸어놓고 옷감을 삶아주고 돈을 받는 영업이 성행하기도 했다. 광주사람들의 삶의 일부분이었던 광주천이 외면을 받게 된 것은 직강화 공사로 인한 공장들이 천 주변에 들어서게 되면서부터였다. 공장에서 쏟아낸 폐수들이 광주천으로 흘러들어가면서 광주천에서는 빨래도, 물놀이도 할 수 없는 오염된 천이 됐고 시민들의 기억 속에서도 점차 지워져갔다. 광주의 모태인 광주천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이를 통해 광주다운 삶의 근원을 더듬어볼 수 있는 ...
박상지 기자2021.07.01 16:39갤러리 리채가 진월동으로 자리를 옮겨 새롭게 개관했다. 광주 원도심에 자리를 잡은 갤러리 리채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예술작품과 자유로운 작품 관람을 통해 일상 공간 속에서 예술을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전망이다. 남구 서문대로 663번길 23 엘림빌딩 1층에 새 터를 잡은 리채는 젊은 작가들을 위한 창작지원 갤러리로 운영된다. 1년에 3인의 청년작가를 선정해 전시를 진행한다. 2021 리채 청년작가 지원전 선정 작가 3인으로는 노은영(32·회화), 하승완(30·회화), 문창환(30·미디어) 작가가 선정됐다. 첫 번째로 전시를 ...
박상지 기자2021.06.30 16:02제1회 영무파라드호텔 아트페어가 열리는 부산 해운대 영무파라드 호텔 및 객실 전시장 모습. 영무파라드호텔 제공 그동안 미술품 수집은 부유층에 국한된 취미로 인식 돼 왔다. 최소 수백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에 이르는 작품 가격은 일반인 입장에선 쉬 엄두를 낼 수 없는 소비일 수 밖에 없다. 부유층의 취미가 일반 대중에까지 확산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지난 4월 부산에서 열린 아트페어의 뜨거운 열기는 미술작품 수집의 대중화를 확인시켰다. 지난 4월 부산화랑협회가 주최한 '아트부산'은 4일간 총 관람객 8만명을 동원하며 35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앞서 3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던 화랑미술제 역시 5일간 4만8000여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72억원의 판매액을 올렸다. 관람객은 예년보다 3배, 판매액은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올해 잇따른 아트페어의 성공에 대해 미술시장 전문가...
박상지 기자2021.06.30 16:02전남도립미술관이 올해 소장품 공모구입 1차 공고를 게시했다. 지난해 공모구입으로 매입한 작품은 지역 작가 70%, 다른 지역 작가 30%의 비율이고, 올해도 이를 유지한다. 올해는 구입 전 작품 실견이 어려워 미술관 컬렉션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힘든 공모구입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2019년 100% 비율이었던 공모 비중을 다소 축소했다. 대신 도립미술관 기획전시 출품작품 등 제안구입 비중을 늘림으로써, 각 시기별 대표작품 구입에 집중한다. 이는 미술관 소장품을 다양화하고 해당 분야 작품을 집중 연구함으로써 장기적 목표에서 도민에게...
박상지 기자2021.06.21 17:25한국민화뮤지엄이 문선영 작가를 초청, '컬러피아'특별전을 진행중이다. 오는 8월31일까지 열리는 '컬러피아' 특별전에서는 민화와 오방색, 베갯모, 자개공예가 녹아든 작품 26점을 선보인다. 문선영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감각적인 표현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민화뮤지엄 본관이자 국내 최초 민화 전문 박물관인 조선민화박물관에서 시작한 국내 최초 민화 전문 공모전, '전국민화공모전'에서 2012년 대상을 수상한 이후 작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압구정 갤러리아 구찌(GUCCI)에 화조도 작품을 설치하는 콜라보 작업부터 담양 도시문화 공공사업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벽화 제작에 참여했다. 2019년 한국민화뮤지엄에서 열렸던 김지숙 작가와의 듀엣전인 '조선왕실 영롱함을 그리다'전을 시작으로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렸던 '민화의 비상'전, 지난해 민화계 최초 언...
박상지 기자2021.06.17 16:07강규건 작 '폭죽' 누구에게나 지우고 싶은 기억이 있기 마련이다. 흑역사로 저장된 기억들은 대개 고통스럽거나 부끄러웠던 시간들이었을 것이다. 개인의 흑역사에는 사회의 아픔이 드러난다.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작가들은 어떤 기억을 가장 지우고 싶을까. 그리고, 지우고싶은 기억 속엔 어떤 사회적 아픔이 깃들어 있을까. 예술공간 집이 청년작가들의 지우고 싶은 기억을 통해 사회의 단면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를 진행중이다. 'erase'를 주제로 한 청년작가전에는 강규건, 김소정, 이 헌, 지문규 작가가 참여했다. 주로 서울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성균관대 대학원에 함께 재학중이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개인적인 맥락, 혹은 사회적인 사건이나 미술사적인 문맥 안에서 작가 본인 스스로의 위치를 재정비하고 그 과정에서 새롭게 발견된 언어들을 라는 공통된 주제로 모았다....
박상지 기자2021.06.17 1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