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수해경 청사 전경. |
이는 전년 같은 기간(16건) 대비 2건이 증가한 수치로, 유출된 오염물질의 양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31일 여수해경에 따르면 유출된 기름의 확산방지를 위해 오일펜스, 유흡착재를 이용한 11건의 방제조치를 시행했으며, 에어벤트(통기관) 봉쇄 및 화재 진압 등 오염물질 배출 방지 조치도 5건이 실시됐다.
사고 원인으로는 침수·침몰 등 해난사고가 8건(44%)으로 가장 많았고, 인적 부주의에 따른 사고가 5건(27%)으로 그 뒤를 이었다.
오염원별로는 어선에서 발생한 오염 사고가 7건(38%)으로 가장 많았고, 유출량 기준으로는 기타선(모터보트, 부선 등)에서 총 452ℓ(34%)가 유출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여수해경 방제과는 어선 침수·전복 등 해난사고로 인한 해양오염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취약 선박군이 밀집해있는 항포구 주변 순찰을 강화하고, 어선 선저폐수 적법처리 이행실태 및 폐기물 기록관리 점검 등 어선 맞춤형 테마점검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해경 관계자는 “시기별 해양오염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제적 예방활동을 통해 방제대비·대응 태세를 확립하고,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바다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정준 기자 jeongjune.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