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감세 및 이민 관련 신법안에 서명한 뒤 자신의 서명을 들어 보이고 있다. UPI/연합뉴스 |
트럼프 대통령은 미 독립기념일을 맞은 이날 오후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감세 영구화, 불법이민 차단, 부채한도 상향 등 주요 정책이 포함된 해당 법안에 서명했다. 이로써 법안은 법률로서 공식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직후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으로부터 의결 당시 사용한 의사봉을 전달받았고, 이를 책상에 내리치며 법률 시행을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전 백악관 발코니에서 행한 연설에서“트럼프 감세는 역사상 최대 감세이며, 미국 경제는 로켓처럼 성장할 것”이라며 “건국 250주년이 되는 내년, 중산층을 부유하게 하고, 국경을 지키며, 강한 군대를 갖춘 국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법안은 지난 5월 22일 하원을 통과한 뒤, 상원의 수정안 가결(찬반 동수 → 부통령 캐스팅보트), 7월 3일 하원 재의결을 거쳐 의회 문턱을 넘었다. 최종 하원 표결은 찬성 218표, 반대 214표였다.
이날 의회를 최종 통과한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인 2017년 시행해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각종 감세 조처를 영구화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면서 ‘감세 법안’으로도 불린다. 감세 규모는 4조5000억 달러(한화 6134조원)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팁과 초과근무 수당에 대한 면세 내용도 포함됐다. 또 불법 이민자 차단·추방을 위한 국경 장벽 및 구금시설 건설 비용, 적국의 탄도 미사일 등으로부터 미국 본토 방어를 위한 ‘골든돔’ 구축을 비롯한 국방비 확대 등이 들어갔다.
연방 정부 부채 한도를 5조 달러(6775조원)로 상향하고, 신생아에게 제공하는 1000 달러(136만원) 예금 계좌 제공 내용도 담겼다.
이와 함께 복지·기후예산 축소 조치도 포함됐다. 메디케이드, 푸드스탬프 등 사회복지 예산 감축, 청정에너지 세액공제와 전기차 구입 지원 폐지 등 바이든 행정부 주요 정책이 대거 철회됐다.
이날 서명식은 백악관에서 열린 군인 가족 피크닉과 함께 진행됐으며, 공화당 상·하원 의원 전원이 초청됐다. 행사 중에는 미 공군 전략폭격기 B-2가 백악관 상공을 비행하며 독립기념일과 법률 제정을 자축했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