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교육청은 오는 7월부터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교육활동에 전념하게 할 수 있도록 행정업무를 대폭 줄이고 지원체계를 재구조화 하는 방안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교육지원청이 학교의 행정업무를 적극 분담해 학교는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중심’ 지원체계 전환이다. 전남교육청은 2019년 이후 별다른 변화 없이 유지돼 온 기존 구조를 과감히 재정비하고 현장 업무를 경감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전남교육청은 지난 3월 실시한 ‘학교행정업무경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학교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23개 행정업무 과제를 도출했다. 주요 과제는 △현장체험학습 지원 △정보화 업무 △CCTV 설치·운영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점검 △특별교실 정비 △교과서 배부 등이다.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행정 부담이 컸던 업무들이다. 이들 과제는 앞으로 교육지원청이 주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교육지원청의 지원 기능도 강화된다. 기존 ‘학교지원센터’는 ‘학교종합지원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현장 밀착형 조직으로 재정비된다. 시 지역과 무안군에는 기존 센터 내에 추가 지원팀이 설치되고, 장흥·강진·함평에는 신규 센터가 설립된다. 이를 위해 총 72명의 인력이 교육지원청에 배치된다.
전남교육청 본청도 이에 맞춰 조직을 조정한다. 업무 연계성 강화를 위해 2개 과와 2개 팀을 통합·폐지하고, 조정된 인력은 교육지원청으로 재배치해 현장 지원에 나선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이번 지원체계 개편은 전남교육 대전환을 실현하는 첫 결실이자 새로운 도약의 출발점”이라며 “학교가 교육 본연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강력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