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00일을 이틀 앞둔 지난 5일 오전 무안국제공항에서 추모제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지난 5일 오전 무안국제공항 희생자 합동 분향소에서 100일 추모제를 열고 희생자들의 안녕과 안전사회 구축을 기원했다.
이날 추모제에는 유족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고광완 광주시 행정부시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가 시작되고 희생자들을 애도하기 위한 묵념시간에는 곳곳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들려 다시 한번 참사의 슬픔이 끝나지 않음을 상기시켰다.
이어 유족 대표와 김 전남지사, 고 광주 행정부시장 등이 차례로 헌화를 하며 희생자의 넋을 기렸다.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추모사를 통해 “그날의 충격과 아픔은 여전히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다. 그 순간을 떠올릴 때마다 아프다. 왜 이런 비극적인 참사가 일어나야 했는지 여전히 의문이다”며 고 “반드시 진실을 밝히고,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남은 자의 몫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전남도지사는 “12월 29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지 벌써 100일이 됐다”며 “지난 참사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희생자 한 분 한 분을 추모하고 남은 유가족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고광완 광주 행정부시장은 “광주시는 한점의 의혹이 남지 않고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유가족협의회는 참사 100일인 7일 오전에도 무안공항 1층에서 추모 행사를 진행한다.
한편 참사와 관련해 피해자 지원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국회 특별법 제정이 진행 중이다.
국회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는 지난달 13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관련된 특별법안 5건을 상정했다. 이들 특별법안은 피해자와 유가족 지원·추모 사업 지원소위원회에 넘겨져 논의된다. 특별법안은 여객기 사고 피해자 피해 지원과 생활·심리안정, 일상 회복 등을 위한 지원 근거를 담고 있다. 발생원인 등 사실관계 파악과 책임소재 규명, 희생자의 명예회복, 추모사업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앞서 특위는 지난달 광주 유가족협의회 사무실 등을 찾아 참사 100일쯤까지 특별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위는 참사 100일째인 7일 소위원회를 열고 상정된 법안을 통합한 특별법 발의를 논의하기로 했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