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정 딸 취업 특혜 의혹에 외교부 개입”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심우정 딸 취업 특혜 의혹에 외교부 개입”
野 “적격자 없어 전공 분야 변경·재공고한 사례, 이번이 유일”
  • 입력 : 2025. 04.03(목) 13:45
  • 서울=김선욱 기자·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한정애·백승아 의원 등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비리 진상조사단’ 참여 의원들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외교부의 특혜 제공 의혹을 제기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당이 심우정 검찰총장 딸의 외교부 연구원 등 취업 특혜 의혹에 외교부 박장호 외교정보기획국장이 개입됐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3일 심 총장 딸 취업특혜 의혹 관련 더불어민주당 진상조사단 단장인 한정애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 출연, 심 총장 자녀가 합격하고 다른 사람이 탈락하는 과정에 박 국장이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했다.

한 의원은 “1차 공고에서 박 국장이 경제 분야 채용 후보자 면접을 진행한 뒤 한국말이 서투르다는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해당 후보자가) 불합격 처리됐다”며 “이후 2차 공고에서 심 총장 딸이 전공한 국제협력 전공자로 지원 요건이 변경됐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채용 관련 인사 관리는 인사기획관실에서 해야 하는데, 심 총장 자녀의 경우 외교정보기획국 산하 외교정보1과에서 이뤄졌다는 점도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진상조사단 소속 박홍배 의원도 이날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내부자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실 외교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박 국장이 유력하다”고 지목했다.

진상조사단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무직 채용 시 1차 공고 후 적격자가 없어 전공 분야를 변경해 재공고한 사례는 과거에도 있어서 특혜가 아니라고 외교부는 해명했다”며 “그러나 확인 결과 전공 분야 변경 사례는 심 총장 자녀 사례가 유일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외교부가 제시한 사례는 국립외교원 채용 과정에서 ‘미 외교정책 및 한미 동맹’ 분야를 ‘미 외교정책’으로 바꾼 것과 기계 (관련) 사원 채용 시 ‘에너지관리 기능사 이상 자격증 소지자’를 ‘해당 분야 경력 2년 이상’으로 변경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두 사례는 모두 최초 공고한 범위 내에서 변경한 것이고, 심 총장 자녀 사례처럼 전공 분야 자체를 바꾼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반박했다.
서울=김선욱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