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신세계 확장 지연…인허가 기관 지원 필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광주신세계 확장 지연…인허가 기관 지원 필요”
광주경총 “지역경제 도약 계기”
“고용창출·소비 증대 등 효과 커”
  • 입력 : 2025. 04.03(목) 13:44
  •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
광주경총
광주경영자총협회는 광주신세계의 프리미엄 백화점 확장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광주시를 비롯한 인허가 기관의 조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3일 광주경총에 따르면 오는 2027년 광주종합버스터미널과 부근에 조성될 광주신세계 프리미엄 백화점 개발이 계속 지연되고 있어 지역 경제계를 비롯한 지역민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신세계는 1995년 4월 설립 후 광주·전남을 대표하는 백화점이자 랜드마크로서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 경제와 문화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권을 형성하며 도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왔다.

특히 지역 사회 요청에 따라 지자체에 세금을 납부하는 지역 현지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난 30여 년간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고 고용창출과 지역 관광산업 발전에도 효자 노릇을 해 오고 있다.

이러한 광주신세계가 지난해 4조 40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쇼핑·문화·예술이 복합된 랜드마크 백화점으로 확장하는 사업 계획안을 제시해 지역 사회로부터 큰 관심과 기대를 받았다.

사업계획 대로 진행되면 건설 단계와 운영 단계에서 수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광주·전남 상권 형성을 통해 광주시 방문객을 증가시키고 소비 지출 증대로 지역 경제를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계획 발표 1년이 넘었지만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확장사업에 진전이 없는 상태다.

광주경총은 “최근 국내·외 경기 침체와 소비 심리 위축 장기화로 모처럼 광주시가 갖게 된 소비증대, 고용창출, 유통과 문화의 랜드마크 조성 기회가 날아가 버릴까 걱정이 앞서고 있다”며 “인허가 기관인 광주시는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는 광주 관문인 광천터미널(유스퀘어) 현대화를 위해서라도 광주신세계 확장사업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아낌 없는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신세계도 지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 대책을 수립하고 소상공인 생계에 어려움이 생기지 않도록 상생방안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며 “지역 경제발전과 광주·전남 랜드마크 조성을 위한 광주신세계 프리미엄 백화점 확장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