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전북이 ‘호남권 메가시티’를 8개월만에 다시 꺼내 들었다. 지난해 7월 호남권 정책협의회를 통해 시도 간 협력을 공동 선언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번에는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등 초거대 AI 기반 시설(인프라) 호남권 공동유치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들 시도는 23일 나주시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 및 2036 하계올림픽 성공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번 협약에서 국제 행사 유치와 첨단 산업 등에 대한 세부 협력 방안을 마련하고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연합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우선 2025 세계양궁선수권대회 성공 개최, 2026 하계 올림픽 전북 유치, 제33차 UN 기후협약 당사국총회 여수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 초거대 AI 인프라 호남권 유치와 신재생에너지 공동 활용 및 에너지원 공동 개발, 농협중앙회 호남 이전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광주·전남·전북 3곳 광역단체장은 수도권 일극체계를 깨고 호남의 공동번영을 약속했다.
호남은 위기다. 인구는 갈수록 줄고, 수도권과의 격차 역시 벌어질때로 벌어진 상황이다. 호남권 메가시티 구상 명분은 차고도 넘친다. 당연한 이치임에도 과연 호남권 메가시티는 언제쯤 안착할 지는 의문이다. 광주와 전남·북 등 3개 자치단체간 메가시티 논의는 지난 2017년이후 7년만이라고 한다. 조건과 환경은 다르지만 호남권은 농업과 식품 산업의 중심지이면서 전통 문화와 관광자원 등이 풍부해 어느 지역보다 발전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호남의 미래를 새롭게 써 가겠다며 하나의 경제 공동체임이 늘 강조됐다. 하지만 결과라고 내세울 만한 게 있는지 따져보면 각자도생 뿐이었다. 이번에는 달라야 한다. 전국단위 지자체들도 앞다퉈 메가시티 구상을 내놨지만 헛걸음만 하고 있다. 결국 메가시티로 단단한 경제동맹이라는 결승선을 누가 밟냐에 따라 지역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서로의 이득을 내려놓고 공동의 이득을 취하는 노력이야말로 호남권 메가시티 안착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