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대표 수산물 갯벌낙지 자원 회복 총력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무안군
무안군, 대표 수산물 갯벌낙지 자원 회복 총력
  • 입력 : 2024. 06.25(화) 11:03
  • 무안=김행언 기자
무안 어촌계원들이 낙지 금어기에 맞춰 어미낙지 3만2000미를 연안에 방류 하고 있다. 무안군은 갯벌낙지 자원 회복을 목표로 낙지 보호수면 등을 운영중이다
무안군이 지역 대표 수산물인 낙지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대대적인 자원 회복에 나섰다.

청정갯벌 무안에서 생산되는 낙지는 다리가 가늘고 길어 세발낙지라고도 부르며 감칠맛과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으로 전국 최고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남획과 해양환경 변화로 급속하게 자원이 감소하고 있어 무안군에서는 자원 회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25일 무안군에 따르면 올해 낙지 금어기를 오는 7월 20일까지로 지정하고 남획 방지를 위해 금어기에 맞춰 어미낙지 약 3만 2000미를 군 연안에 방류했다.

군은 2007년부터 탄도만 일원에 약 200㏊의 낙지 보호수면을 지정해 산란시기에 안전한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2017년부터는 직접적인 낙지 개체수 증식을 위한 교접된 어미낙지를 방류하는 ‘낙지목장화 사업’을 통해 어촌계 스스로 낙지를 보호·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20년에는 낙지 산란·서식장 조성 공모사업에 선정돼 총 40억 원(국비 20억, 군비 20억)의 사업비를 확보하여 탄도만 일원에 인공 낙지산란장을 조성해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원을 회복하고, 변화를 모니터링해 사업효과 분석과 자원조성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이러한 자원조성의 노력으로 무안군 낙지 어획량은 2021년 12만 접에 비해 2022·2023년 15만 접 이상 포획되어 약 27% 어획량이 증가하는 결실을 거뒀다.

나재철 해양수산과장은 “낙지는 양식이 되지 않고 기온이나 수질오염 등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아 인위적인 자원조성은 한계가 있어 어업인 스스로 무분별한 남획을 금지하고 금어기를 준수하는 등 자원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안=김행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