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기자. |
이상기후로 인해 과일, 채소 등 식품 물가가 연일 치솟고 있다. 과일류는 금사과, 금딸기라 불리며 사 먹을 엄두도 내지 못하게 만들었으며 채솟값은 소리 소문 없이 급등해 서민들의 장바구니를 위협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월 소비자물가에서 과실의 기여도는 0.4%p로 지난 2011년 이후 13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상 0.1~0.2%p에 그치는 과실류 기여도는 지난해 9~10월 0.4%p로 뛰어올랐다.
또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광주 식품 물가는 지난해 동월 대비 5.3%나 올랐다. 같은 기간 사과 가격은 66.1%, 귤은 62.1%, 딸기는 14.8%, 배는 무려 121%나 치솟았다. 채소류에선 풋고추 7.4%, 파 17.7%, 호박 22.3%, 배추 26.3% 올랐다.
수요가 몰려 과일, 채소 등이 비싸지는 명절이 지났음에도 물가는 안정되기는커녕 설 대목보다 가격이 더 오르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장바구니 물가에 시민들은 ‘가성비’를 찾기 위해 전통시장을 방문하지만, 대형마트에 비해 아주 조금 저렴할 뿐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보여 구매를 망설이기 일쑤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시행했던 물가 안정 대책에도 불구하고 고물가 기조가 계속되자 대형마트 직수입 규정을 완화하는 등 물가 안정 방안을 추가로 내놓았다. 현재 수입업자와 식품 가공업자, 식자재 업자 등만이 가능한 직수입을 대형마트에서도 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선키로 한 것. 또 과일 관세 인하 물량을 2만톤 추가 배정하고 청양고추, 오이, 애호박에 ㎏당 1300원의 출하장려금도 지원한다.
하지만 당장의 물가를 안정시킨다 한들 기후변화로 인한 과일, 채소 등 농산물 생산량 감소는 또다시 매서운 태풍의 얼굴을 하고 찾아올 것이다. 서민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한 추가 정책도 좋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을 막기 위한 이상기후 대응 매뉴얼이나 친환경 정책을 심도 있게 마련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