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포대학교 ‘디지털새싹 캠프’ 교육 |
디지털새싹 캠프 운영사업은 가정 배경과 교육 여건 등에 따른 디지털 교육 격차를 최소화하고,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2025년부터 시작) 시행 전 초·중·고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목포대학교는 이를 위해 대학과 기업교육 전문기업 한국정보인재개발원(KRDi), 창의융합형 미래교육 전문기업 더봄홀딩스와 산·학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번 사업은 오는 2024년 2월말까지 약 8개월간 실시된다. 호남과 제주의 늘봄학교를 포함한 일반 학교는 물론 도서벽지 등 디지털 소외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교육은 수준별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초·중·고 학생의 디지털 교육 확대 및 디지털 교육 격차 완화를 위해 SW·AI· 등을 중심으로 실시된다.
이번 여름방학 기간 동안에는 총 5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호남·제주지역 초·중·고 학생 800명 대상으로 교육할 예정이다.
AI 교육의 최신 트렌드와 교사 및 강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목포대학교 교수들로 구성된 전문 멘토진을 운영해 지역의 디지털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주요 교육과정은 기초과정인 ▲제주 여행으로 시작하는 코딩 ▲나도 게임 개발자 ▲인공지능 로봇반장 ▲스마트한 나만의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 ▲인공지능과 데이터사이언스 ▲교과서와 떠나는 AI 여행 등이다.
또 심화과정으로 ▲친환경 스마트 홈 프로젝트 ▲미세먼지 Zero 프로젝트 ▲UN SDGs 문제해결 융합형 미래교육 등 대상과 수준에 따라 구성된 28개의 과정으로 운영된다.
디지털새싹 캠프는 무료로 진행되며, 참가를 희망하는 단체나 학생은 디지털새싹 교육캠프 누리집이나 컨소시엄 각 기관, 교육청 공문을 통해 교육을 신청할 수 있다.
목포대학교 조광문 교수는 “이번 컨소시엄은 학교와 산업체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학생들에게 현실적이고 혁신적인 교육기회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호남·제주지역에 지속가능한 디지털 창의인재의 숲을 만들어 지역의 디지털 신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목포=정기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