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부가 4대강 보를 물그릇으로 활용한다는 광주 전남 가뭄대책을 내놓자 지역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3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4대강 본류의 16개 보를 물그릇으로 최대한 활용해 가뭄에 도움이 되도록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광주·전남 지역 중장기 가뭄 대책(안)’을 발표했다.이는 지난달 31일 순천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전남지역 가뭄과 관련 “방치된 4대강 보를 최대한 활용하라”는 지시의 후속조치인 셈이다. 윤석열 정부는 4대강 보 해체 등을 결정한 전 정권을 지적하며 4대강 보 활용 방안을 높이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여당도 이같은 정부 정책 기조에 힘을 싣고 있다.국민의 힘 이주환 의원은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인용하면서 전 정부의 4대강 보 해체와 상시 개방 결정으로 인해 영산강(승촌보·죽산보)의 경우 광주 시민이 40일간 쓸 수 있는 물(1560만t)이 손실됐다고 주장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가뭄 원인을 전정부 탓으로 돌리는 것에 반발했다.강 시장은 3일 영산강 보 개방이 광주 전남 가뭄의 한 원인이라는 일부 보수 언론 보도에 대해 ‘가짜뉴스’라며 강하게 비판하면서 “최악의 가뭄 때문에 덕흥보와 강변 여과수(심층수) 등 영산강 물을 활용 또는 활용하려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광주시민의 식수원은 영산강이 아닌 섬진강 수계물”라며 “최근의 가뭄은 4대강 보 해체나 개방 탓이 아닌 기후 위기의 문제”라고 밝혔다. 정부 가뭄대책에 대해 환경단체인 광주환경운동연합은 3일 논평을 내어 “기후위기에 따른 가뭄에 대처하기 위해 영산강물을 상수원으로 사용하려면 물을 가두지 말고 승촌·죽산보를 해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4대강 보를 물그릇으로 쓴다는 건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할 때 내세웠던 논리로, 사실상 문 정부에서 개방했던 보의 수문을 다시 막겠다는 것이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 환경단체가 가뭄 원인과 대책에 대한 입장이 다른 상황에서 환경부가 이달내 가뭄대책을 확정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영산강 보 존치와 해제를 둘러싼 갈등과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
![]() ![]() ![]() |
사단법인 광주공동체 제12차 해외봉사 단원 모집
대한장애인사격연맹, 대한장애인체육회 34개 가맹단체 종합평가 ‘종합 1위’
‘영광 출신’ 신지애, 일본 여자프로골프 메이저 대회 살롱파스컵 제패
전남도, 함평에 ‘두 지역살이’ 거점…생활인구 늘린다
소울푸드 아카데미>"독서는 개인·사회·국가 방향성 정립의 나침반"
"5·18 비극적 역사 반복 안되도록 배우고 기억해야”
대통령·총리 모두 없는 5·18 기념식… 대선 후보 목소리 커지나
김문수, 국민의힘 의원총회서 큰절… 지도부와 갈등에는 사과
전광훈 “김문수 후보 자격 회복은 전화위복”
‘헌정 사상 초유’ 대법원장 청문회, 오는 14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