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원 국장 |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뒤 국토균형발전 정책은 오히려 퇴보하는 느낌이다. 수도권 집중을 가속화하는 정책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내 공장 설립 규제를 풀었고,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도 수도권 대학에 유리하게 조정하는 등 현 정부의 균형발전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 한술 더 떠, 최근엔 6대 첨단산업에 550조원 규모 투자를 유도한다면서 그 절반 이상인 300조원을 수도권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했다. 노골적인 비수도권 홀대로 읽힌다.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한 ‘수도권 챙겨주기’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인구의 수도권 쏠림 현상 가속화를 부추기는 정책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뿐이다.
저출산, 고령화, 청년층 유출의 ‘3중고’ 속에 전국 226개 기초 지자체 중 89개가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비수도권은 고사 상태에 놓여 있다. 국토균형발전은 소멸 위기에 놓인 비수도권뿐만 아니라 포화상태에 처한 수도권도 살리는 상생의 열쇠다. 정부는 국토의 균형 있는 성장이야말로 국가경제를 건실하고 꾸준한 발전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 제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