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수 해상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에서 물고기 123만 마리가 집단 폐사해 관계기관이 원인 파악에 나섰다.26일 여수시에 따르면 지역 해상의 가두리 양식장 20어가에서 물고기 집단 폐사가 잇따라 접수되고 있다.폐사한 어종은 참돔, 감성돔, 참조기, 부세 등이며 이날 현재까지 123만마리, 41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여수시는 이번 물고기 집단 폐사 원인을 지난 한파에 따른 저수온으로 보고 있다.여수시는 “한파 피해를 입은 물고기의 면역력이 약해져 시간이 지나면서 버티지 못하고 집단 폐사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가두리 양식장 피해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현재 여수지역 바닷가 온도는 7도에서 9도로 측정되고 있지만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지난 17일까지 여수 연안인 여자만, 가막만에 저수온 경보가 내려졌었다.여수시는 정확한 폐사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해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전남도해양수산과학원 등에 넘겼다.한편 여수에서는 지난 2017년과 2018년에도 저수온으로 인해 물고기 집단 폐사가 발생해 각각 11억8000만원, 36억1700만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이처럼 한파는 양식장에서 키우는 물고기 떼죽음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식어가들에게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양식업 영위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름값과 전기료의 폭등으로 양식 어민들의 삶을 옥죄고 있는 상황에서 물고기 폐사까지 겹쳐 이중고를 겪고 있다.기후 변화로 인해 양식 어가의 생산 기반이 날로 취약해지고 있다.이같은 상황은 어촌 공동체 붕괴와 지역 소멸 가속화시키는 악순환이 이어질수밖에 없다. 해양수산부와 여수시 등은 이번 물고기 집단폐사 원인 규명과 함께 적정한 피해 보상, 재발방지 대책 등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기후 변화로 태풍, 한파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 빈도수가 잦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는 어업인들이 이들 재해에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할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
![]() ![]() ![]() |
사단법인 광주공동체 제12차 해외봉사 단원 모집
대한장애인사격연맹, 대한장애인체육회 34개 가맹단체 종합평가 ‘종합 1위’
‘영광 출신’ 신지애, 일본 여자프로골프 메이저 대회 살롱파스컵 제패
전남도, 함평에 ‘두 지역살이’ 거점…생활인구 늘린다
소울푸드 아카데미>"독서는 개인·사회·국가 방향성 정립의 나침반"
"5·18 비극적 역사 반복 안되도록 배우고 기억해야”
대통령·총리 모두 없는 5·18 기념식… 대선 후보 목소리 커지나
김문수, 국민의힘 의원총회서 큰절… 지도부와 갈등에는 사과
전광훈 “김문수 후보 자격 회복은 전화위복”
‘헌정 사상 초유’ 대법원장 청문회, 오는 14일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