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위기의 한우農, 유통구조 개선으로 넘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위기의 한우農, 유통구조 개선으로 넘어야
전남서만 영세농 1천여 곳 폐업
  • 입력 : 2023. 02.13(월) 17:52
전남의 한우농가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였다. 한우가격이 폭락한 반면 생산비는 급등하면서 지난 3년간 1000여 곳의 영세농가가 폐업을 선택했다고 한다. 코로나19가 한창일 때는 소 값이 비싸서 못사고 , 지금은 생산비 때문에 입식 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는 영세농의 목소리가 가슴 아프다.

13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20년을 기준으로 50마리 미만의 한 육우를 기르는 농가가 1만 3288곳에서 지난해 1만 2612곳으로 676곳(5.09%)이 감소했다. 특히 같은 기간 20마리 미만의 소규모 농가는 10%가 넘는 999곳이 사라졌다. 이와 달리 50마리 이상을 키우는 대규모 농가는 매년 200여 농가씩 늘었다고 한다. 코로나 19에 따른 가정식 수요 증가로 활황을 보였던 ‘한우 특수’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역 한우산업이 처한 가장 큰 문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대규모로 키울 수록 생산비가 낮아져 경쟁력은 올라간다. 반면 영세업자들은 외부의 작은 변화에도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영세농과 기업농이 애초 경쟁이 안된다는 얘기다. 잘못된 유통구조의 탓도 크다. 한우 값이 떨어져 수많은 농민이 폐업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는 쇠고기 값이 되레 오른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산지 생산 가격이 소비자가격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우리 한우산업의 미래도 밝지 않다.

한우산업은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진다는 점에서 식량안보의 중요한 대상이다. 사료부터 도축까지 농업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인구 소멸 지역인 전남의 경우 지역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이기도 하다.

전남도가 때맞춰 중소축산농가를 위한 신규사업을 편성키로 했지만 그 걸로는 부족하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위기에 처한 한우 산업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생산비 절감을 위한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이나 소비자가격 연동제 등도 대안일 수 있다. 농가 출하 조직을 다지고 유통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유통개선을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