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현 기자 |
정부는 이에 대해 4차 접종 대상 확대 등 위중증·사망에 취약한 고위험군 보호에 초점을 두고, '자발적 거리두기 체계'에 방역을 맡기기로 했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새 변이의 감염 원인·경로·확진자 예측 등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재유행 최고조'에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새 정부가 강조하는 '과학방역'은 '자율'과 '책임'을 기조로 하고 있다. 다만 이 틀을 제외하면, 전 정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되레 확산세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했던 전 정부의 방역정책에 비하면 데이터가 명확하지 않은 채 방역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방역당국은 지난달 의무격리 일수 검토 차원에서 만든 자료에서 '주간 평균 확진자 예측치'를 7월 말 9000명, 8월 말 1만7000명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이와 달리 지난 18일 확진자 수는 7만명을 돌파했다. 여기에 방역 전문가들은 8월 중순께 확진자 수가 최대 25만명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데이터에 기반하는 '확진자 예측' 조차 틀린 것이다.
앞으로 확진자 수의 폭증은 불가피하다. 더욱이 지난 2년간 코로나19에 시달렸던 국민들은 사실상 '코로나19가 없는 셈' 치거나 '걸려도 약먹고 치료해야지'라고 생각한다.
지난 19일 취재 과정에서 만난 한 약사는 "7월 초까지만 해도 신속항원키트를 찾는 사람들이 많이 없었다. 그러나 지난주부터 구매자들이 늘어 평소보다 약 3배 넘게 판매됐다"며 "이들 중 상당수가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집에서 상비약으로 버티겠다'는 경우가 많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제 코로나에 감염이 되면 재택치료비 등은 환자 본인이 부담 해야 한다. 결국 국민들이 모든 책임을 떠안게 된 것이나 다름 없는 셈이다. 방역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휴가철이 다가온 만큼, 방역당국의 컨트롤 타워 역할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현 정부의 방역정책이 '뒤늦은 후회'를 하지 않으려면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재유행 사태가 더욱 심화되기 전에 '자발적 거리두기 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하고 진정성 있는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확진자 수를 억누를 수 있는 '정치적'이지 않고 '확실한' 과학방역을 보여주길 기대해본다.
정성현 기자 ju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