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청사관리 등 업무를 하는 광주 무기계약직(공무직) 공무원들이 24일 오후 광주 남구 남구청사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차별 금지와 퇴직금 제도 개선" 등을 촉구하고 있다. 뉴시스 |
광주전남자치단체 공무직노동조합은 24일 오후 광주 남구청사 앞에서 노조원 3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차별 없는 퇴직금 제도를 만들라"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지난 2015년부터 사측인 지자체와 교섭을 벌였지만 4년이 지나도록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면서 "퇴직금 누진제에 대해서 4년동안 말을 바꾸며 무책임한 교섭에 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시청 공무직은 이미 퇴직금 가산제가 적용되고 있는 등 임금, 인사,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서 구청 공무직은 차별을 받고 있다"면서 "모성보호 복지제도의 경우 구청내 여성직원들은 혜택을 받을 수 없어 일을 그만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공무직노조는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한다"면서 "노동이 존중되고 차별 없는 노동환경에서 더 나은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5개 구청은 공동 입장문을 내고 "5개 구청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18.5%로 전국 최하 수준이고 자체 재원으로 직원 인건비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퇴직금 누진제를 받아줄 경우 중장기적인 재정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청 공무직들은 퇴직금 가산제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가산제가 적용된 광주시 공무원들이 받는 퇴직금 수준과 별 차이가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무직 직원 또한 이름만 다를 뿐 공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의 직원이자 광주시민"이라며 "노사가 대화와 타협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호소했다.
이한나 기자 hannah.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