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 24일까지 광주·전남지역에서 접수된 기관 사칭 피싱·노쇼 의심 및 피해 신고 건수는 총 56건(광주 47건, 전남 9건)이다.
사기범들은 특정 기관 소속을 사칭한 위조 신분증 등을 제시하고 대량 식사 예약을 통해 신뢰를 쌓았다. 그리고, 기관 납품용 물품을 대리구매해달라고 요청하는 수법을 썼다. 이후 특정 유통업체를 통해서만 물품을 받을 수 있다며 수십만원 상당의 배송료를 요구하고, 물품 수령 후 배송료를 돌려주겠다고 속였다.
광주에서는 1월 1건, 2월 4건, 3월 2건에서 4월에는 집계일 기준 40건으로 급증했다. 최근 광주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관을 사칭한 사기범이 지역 장어 전문 식당에 접근했고, 식당 주인이 기관에 직접 확인하면서 피해를 막은 사례도 있었다.
군부대 관계자, 교도관 등을 사칭해 전국적으로 비슷한 수법을 벌인 사례도 확인됐다. 광주교도소를 사칭해 천막 주문을 시도했던 사기범은 광주교도소의 고발로 드러났다.
전남 지역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1월 1건에 그쳤던 신고는 3~4월 사이 8건으로 늘었다. 특히 전남 영암에서는 군부대 납품 담당자를 사칭해 친분을 쌓은 뒤 ‘식량 납품 계약금 대납’을 요구해 1억6200만원을 송금받은 사례도 발생했다.
경찰은 현재 동일 수법 범죄를 병합해 수사 중이다. 경찰은 대포폰과 대포통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자영업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광주경찰청 관계자는 “대량·단체 주문 전화를 받은 경우, 선결제나 예약금을 요구하고 반드시 해당 기관 공식 전화번호로 확인해야 한다”며 “단체주문 후 대리구매를 요청하는 경우는 100% 사기이므로 즉시 112로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