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장애인 보장구 수리 지원시설·인력 ‘태부족’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광주 장애인 보장구 수리 지원시설·인력 ‘태부족’
매년 700건 이상 정비 요청 접수
지원금 사용 가능한 센터 1곳뿐
직원 2명 수리·행정 모두 도맡아
수리 지연사례 빈번…이동권 제약
  • 입력 : 2024. 12.26(목) 18:10
  •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광주지체장애인협회 관계자가 최근 광주 서구 금호동의 한 아파트 복도에서 휠체어 바퀴를 수리하고 있다. 정상아 기자
지체장애인 30대 김씨는 최근 휠체어 바퀴가 고장 나 행정복지센터에 수리를 신청했다. 외출할 때 항상 타고 다녔던 휠체어가 고장 난 탓에 꼼짝없이 집에 갇히게 된 김씨는 서둘러 수리를 맡겼지만, 업체에 신청이 밀려있어 약 2주가 지난 후에야 겨우 수리를 끝낼 수 있었다.

광주지역에 장애인의 필수 이동 수단인 보조장비기구(보장구)를 수리할 수 있는 곳이 턱없이 부족해 장애인들의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광주에서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보장구 수리 업체가 한 곳밖에 없는 데다, 2명의 직원이 모든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26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에 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장애인 보장구 수리업체는 시가 지정위탁 운영하는 광주지체장애인협회의 보장구수리센터 1곳뿐이다.

연간 보장구 수리 지원금(시비 7:구비 3 매칭)은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는 30만원, 일반 대상자는 20만원 이내로 지급된다. 다만, 수리 비용 중 50%는 자부담이다.

수리센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이 각 관할 구청 행정복지센터에 보장구 수리를 신청해야 한다. 접수된 신청 건은 구청 담당자가 서류를 검토한 뒤 보장구수리센터에 이관하며, 이후 센터 직원이 현장 방문을 통해 수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광주시 내에는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 등 장비를 점검하고 교체하는 사설 업체 10여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사설 업체에서는 지원금 사용이 불가능한 탓에 광주지체장애인협회 보장구수리센터에 수리 접수가 몰리고 있다.

광주지체장애인협회에서 제공하는 보장구 수리 서비스는 2022년 755건, 2023년 764건이며,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접수 건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수리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은 단 두 명에 불과해 업무 과중이 이어지고 있다.

현장 방문 수리는 신청자의 장비 상태를 확인하고 부품을 교체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단순한 타이어 교체 요청이라 하더라도 현장 점검 과정에서 추가적인 수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하루 일정이 밀리거나 신청자와의 약속 시간을 못 맞추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들은 행정 업무부터 현장 방문 수리까지 2인 1조로 진행하기 때문에 하루 일정이 빠듯하다. 광주의 5개 자치구를 돌아다니며 하루 5~6건의 신청 건을 처리하고 있는 탓에 신청자와의 약속 시간에 늦는 경우도 많다.

김만호 장애인보장구수리센터 과장은 “수리를 맡기는 분들이 제품 모델명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1차로 통화 연결이나 방문을 통해 필요한 부품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며 “부품 재고가 센터에 남아 있을 때는 빠른 수리가 가능하지만 전동 휠체어의 경우에는 해외 부품을 사용하는 제품도 많아서 길게는 두세달이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센터에는 긴급 수리 요청도 적지 않다. 길을 가던 중 휠체어가 고장 나거나 타이어에 문제가 생겨 움직일 수 없게 된 장애인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지만, 제한된 인력으로 즉각 대응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김 과장은 긴급 수리 요청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일정 등의 이유로 늦어질 때는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휠체어를 자리에 두고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치한 뒤 센터에서 휠체어를 수거·수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되도록이면 피해가 없도록 서둘러서 수리를 진행하고 있지만 광주 전역에서 활동하다 보니 이동 시간이 오래 걸려 다음 일정이 늦춰지는 경우가 간혹 있다”며 “시간 지체로 인한 민원이 자주 발생해 출퇴근 시간보다 일찍 나와 업무를 보고 있지만 2명의 인원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호소했다.

광주시는 예산 문제로 인해 장애인 수리 인력 충원 등 지원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매년 장애인 복지 관련 사업량을 분석해 지원 예산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현재 예산이 부족한 상황이라 당장 전문 인력을 충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