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86-2> 가로수 수백그루 죽어가는데…원인 분석·관리 소홀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86-2> 가로수 수백그루 죽어가는데…원인 분석·관리 소홀
시, 3년간 648주 고사 불구 대책 외면
전문가 진단 없이 '자연고사'로 처리
수종·계절 고려않는 가지치기 위험
"지역 내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
  • 입력 : 2023. 02.12(일) 18:22
  •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
5일 광주시와 각 자치구 등에 따르면 지난 2020~2022년 광주에서 총 648주의 가로수가 고사해 1년 평균 200그루 이상의 가로수가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현 기자
광주 도심 속 가로수가 해마다 200그루 이상씩 죽어가는데 지자체는 체계적 관리는 고사하고 원인 파악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광주시와 각 자치구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광주에 식재된 가로수는 16만2987주다.

자치구 별로는 △동구 9223주 △서구 3만4340주 △남구 1만5002주 △북구 3만8422주 △광산구 6만6000주 등이다.

최근 3년간 광주시에서 발생한 고사목 통계를 살펴보면, 2020~2022년 동안 광주에서 총 648주의 가로수가 고사했다. 1년 평균 200그루 이상 고사한 셈이다.

가장 고사목이 적은 곳은 남구로 3년 동안 10주의 가로수가 고사한 반면, 북구는 322주의 가로수가 고사해 차이가 크게 났다.

같은 기간 북구와 가로수 규모가 비슷한 서구는 190주, 2배 가량의 가로수가 식재된 광산구는 99주의 고사목이 발생했다.

이같은 현상은 자치구마다 관리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북구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70% 이상 고사한 수목을 고사목으로 보는데, 북구는 잎이 피어있지만 뿌리 일부분이 썩어있는 등 완전히 고사하지 않았음에도 사고 방지를 위해 사전 제거한 사례까지 고사목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관리 기준 뿐만 아니라 고사 원인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개 자치구 모두 고사목을 고사 원인별로 분류하지 않고 고사 원인을 노화, 자연 고사 등 애매모호한 단어로 통일했다. 이는 행정 편의주의로 해석 될 수 있다.

전남도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남도의 가로수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22개 시·군에 식재된 가로수 305만1772주 중 최근 3년 동안 5842주가 고사했다. 다만 원인은 ‘가뭄, 태풍 피해 등’으로 표기돼 애매모호하다.

이는 전문가가 아닌 담당 공무원들이 고사 원인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전문적 지식 없이는 고사 여부조차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은데, 비전문가가 임의로 고사목을 진단하니 한계가 발생하는 것이다.

강전정한 절단 부위에 곰팡이가 피는 등 증상과 원인이 명확한 사례마저도 서류상 편의를 위해 자연 고사 ‘등’으로 처리되기도 한다.

이렇다 보니 매년 200주가 넘는 고사목이 발생해도 대책 마련은커녕 그저 ‘죽으면 죽는 대로’ 가로수를 방치하는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담당자들은 “특정 노선 가로수가 한꺼번에 고사하는 등 특이한 경우에만 전문가 진단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가로수의 생육을 좌우하는 가지치기 시스템도 허술하다. 현재 광주시와 전남도는 가지치기를 산림법인·조경업체 등에 위탁해 시행하고 있다. 또 산림청에서 발간한 ‘가로수 조성·관리 매뉴얼’의 수종별 가지치기 시기·방법에 따라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고 지자체는 설명했다. 하지만 현장에선 전선, 간판 가림 등의 민원 등이 들어오면 나무의 생육은 아랑곳하지 않고 과도하게 강전정이 이뤄지고 있다. 당연히 기후 등 지역적 조건을 고려한 가지치기 세부 매뉴얼은 마련돼 있지 않다.

고사로 인한 보식, 신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최근 광주시에 신규 식재된 가로수만 △2020년 728주 △2021년 2335주 △2022년 676주 등이다.

전남도는 △2019년 13만5776주 △2020년 40만5836주 △2021년 28만9878주다. 광주·전남 시·도목(市·道木)인 은행나무 기준 가로수 1주당 식재 비용이 60만~80만원에 달하고, 가로수 유지·관리에 매년 광주 50억·전남 70억가량의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가로수 보호에 대한 지역사회의 논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수종별 생리·특징을 토대로 광주·전남만의 체계적인 가로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한다.

김종필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산림청 가지치기 매뉴얼에 따른 가지치기가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 지자체에서 수시로 모니터링해야 한다”면서 “또 대로변·이면도로의 가로수, 구도심·신도심의 가로수 등 사례별 관리와 지역의 오염정도·기후에 따른 광주·전남만의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