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파업에 철도도 '들썩'… 지역 산업계 최대위기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화물파업에 철도도 '들썩'… 지역 산업계 최대위기
산업계, 재고는 쌓이고 원료는 ‘바닥’||금호타이어, 7일까지 ‘1일 30%’ 감산||지역 철도노조 1000여명 2일 총파업||정부, 유조차도 업무개시명령 검토
  • 입력 : 2022. 12.01(목) 18:02
  • 김해나 기자
'화물연대 파업 엿새째' 한산한 인천항. 뉴시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8일째 총파업을 이어가면서 지역 산업계 등이 최대 위기 국면을 맞고 있다. 화물연대에 이어 전국철도노동조합까지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열차 운행에 차질이 우려된다.

1일 광주시·전남도 등에 따르면, 지역 소재 레미콘 업체 119곳(광주 7곳·전남 112곳)의 이번주 생산량은 '0'으로 잠정 집계됐다.

원료가 되는 시멘트 수급이 파업 직전과 비교해 급감한 탓이다.

특히 전남도 내 시멘트 제조 시설 5곳도 최근 출하량이 전무하다. 광주는 강원·전남 등지에 있는 시멘트 생산 시설에서 하루 평균 5000톤을 들여오지만 지난달 28일 이후론 수급이 끊긴 상황이다.

전국적으로 품절 주유소도 늘고 있다.

이날 재고 소진 주유소는 전국 49곳으로 파악됐다. 전날(26곳)과 비교해 23곳이 늘었다.

유종별로는 휘발유 40곳, 경유 6곳, 휘발유·경유 3곳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24곳, 경기 11곳, 충남 9곳, 인천 2곳, 충북 2곳, 강원 1곳이다. 아직 광주·전남 지역에 품절 주유소는 없지만, 파업이 계속되면 지역 내 품절 대란 역시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금호타이어도 원·부재료가 부족해 오는 7일까지 광주와 곡성 공장 타이어 생산량을 30% 수준까지 줄일 계획이다. 또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휴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만 컨테이너 물류도 일주일 넘게 중단됐다. 항만에서 반출하지 못한 컨테이너 화물이 쌓여있는 비율(장치율)은 광양항 61.6%, 목포항 5.9%다.

산업계 '셧다운' 위기에 철도노조까지 파업에 동참하면서 운송분야로 파업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철도노조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노조는 2일 전국 본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하고 무기한 파업을 예고했다.

호남본부(광주·전남·전북)에서만 1000~1200명 가량이 동참할 예정이어서 열차 운행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 현재 부분 파업으로 지역을 오가는 ITX새마을호·무궁화호 등의 운행이 수시로 연착되고 있다.

현재까지 파업 동참 의사를 밝힌 지역 조합원은 기관차 운전사 300여명, 열차 승무원 150여명, 차량 정비원 350여명 등이다.

교섭이 진행 중이지만 사측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노조의 입장차가 커 타결 가능성이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관계자는 "태업을 통해 정부와 코레일의 상황을 보고 총파업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었지만, 최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의 '2시간 반 일하고 이틀 쉰다', '선로 전환기 자동화를 노조가 반대해 설치하지 못했다' 등 철도공사(코레일)와 노조를 향한 비판 발언에 총파업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화물연대 총파업과 관련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업무개시명령을 시멘트에 이어 유조차(탱크로리) 운송기사에 대해 발동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원 장관은 이날 서울 구로차량사업소를 찾아 철도노조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점검한 뒤 "미리 단정할 수는 없지만, 현재 산업 특성을 봤을 때 정유 분야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대본에서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 늦출 수 없다고 판단되면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위한) 국무회의를 언제든 소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례 국무회의는 매주 화요일 열리지만 이에 앞서 임시 국무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는 뜻이다.

오는 2일 파업을 예고한 철도노조에 대해선 "화물연대의 운송거부로 국가 경제도 어렵고 국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닌데, 이럴 때 철도노조가 민주노총의 전위대 역할을 할 게 아니라 국민 편에 서야 한다"고 말했다.

노사 협상 결렬로 철도노조가 파업하게 되면 2019년 11월 이후 3년 만이다.

김해나 기자 min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