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사망 참회도 사죄도 없이… '역사의 심판' 끝나지 않았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두환 사망 참회도 사죄도 없이… '역사의 심판' 끝나지 않았다
오욕의 삶 마친 전두환 ||군사 쿠데타로 정권 장악해 ||1980년 5월 광주 학살 주범 ||내란목적살인 등 사형 선고 ||마지막까지 광주에 사과 없어
  • 입력 : 2021. 11.23(화) 17:26
  • 노병하 기자
전두환 옹호발언과 개사과 논란을 빚은 국민의힘 대선후보인 윤석열 후보가 10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기 위해 찾았다. 윤 후보(맨 앞)가 오월 어머니회 등 광주지역시민단체의 항의를 맞닥뜨리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미안하다는 한마디, 잘못했다는 사과는 아흔의 생이 저물 때까지도 없었다.

그는 그렇게 눈을 감아버렸지만, 원통함과 분노를 안고 사는 광주는 그저 망연자실함과 울분으로 그의 마지막 길을 바라봐야만 했다.

제11, 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씨가 23일 오전 8시 45분께 서울 연희동 자택 화장실에서 쓰러져 사망했다. 향년 90세.

그는 최근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종 확진 판정을 받고 투병 중이었다. 지난달 26일 12·12 군사 쿠데타 동지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별세했고 한 달도 되지 않아 세상을 떴다.

1980년 길 바닥에 피를 흘리며 쓰러졌던 광주시민들과 달리, 천수를 누린 후 떠났다. 하지만 사망 후에도 영면에 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망에도 불구하고 '1980년 오월'은 계속 역사 속에 살아서 영원히 그에게 죄를 물을 것이기 때문이다.

1931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난 전 전 대통령은 대구에 정착해 1951년 대구공고를 졸업했다. 1952년 육군사관학교 11기로 입학했다. 이때 노태우 전 대통령과 동기생으로 인연을 맺게 된다.

이후 1964년 3월 군내 사조직인 '하나회'를 결성해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를 주도했다. 쿠데타 당시 합동수사본부장 겸 보안사령관을 맡아 군사력을 앞세워 쿠데타 반대 세력 숙청에 들어갔다.

신군부 세력은 1980년 5월 비상계엄조치를 전국으로 확대했고 광주를 비롯한 전국에서는 들불이 퍼지듯 반대의 목소리가 퍼져 나갔다.

이 시기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설치, 상임위원장에 오른 그는 평생을 따라다닐, 광주 학살을 자행했다. 수많은 광주시민들이 국군의 총칼에 목숨을 잃어갔고, 그는 그 학살을 바탕으로 그 해 9월 1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투표로 11대 대통령에 취임한다.

이어 한 달 뒤에 대통령 임기 7년 단임과 간선제 선출을 골자로 한 헌법 개정안을 공포, 1981년 3월 3일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를 통해 12대 대통령에 다시 당선됐다.

영원할 것 같던 그의 권력도 1987년부터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그해 1월 14일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이 터졌고 이는 6월 항쟁을 불러왔다. 자신의 뒤를 이은 노 전 대통령은 전국민의 분노 앞에서 6·29 민주화 선언을 발표했다.

그 뒤 노 전 대통령의 '5공 세력 청산' 정책에 따라 백담사로 들어갔고 김영삼 전 대통령 집권 때 12·12 군사 쿠데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탄압 문제로 1995년 구속기소됐다.

1996년 8월 26일 1심 재판에서 반란·내란수괴·내란목적살인·상관살해미수죄·뇌물죄 혐의로 1심에서 사형을 선고 받았다. 또 1997년 4월 대법원은 무기징역과 추징금 2205억원을 확정판결했지만, 1997년 12월 22일 사면 복권됐다.

투옥기간은 불과 2년, 이것이 그가 지불한 모든 죄의 댓가였다. 한번도 광주에 대해 사과를 하지 않았다. 사과 의사도 밝힌 적이 없다.

추징금도 제대로 납부하지 않았다. 되려 '전두환 회고록' 전 3권을 집필해 광주를 욕보였다. 자신의 회고록에서 5·18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가리켜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그 결과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이었다.

하지만 본인이 사망함으로서 공소권 없음이 됐고, 재판 뿐만 아니라 1980년 오월에 대한 진상규명도 더욱 더뎌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노병하 기자 bh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