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더불어 사는 사회, 통계로 본 다문화 변화상’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다문화 혼인은 광주 475건, 전북 694건, 전남 782건, 제주 362건으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광주 33.8%, 전북 22.2%, 전남 19.6%, 제주 21.9% 증가해 전국 평균 증가율(17.2%)보다 높았다.
시·군·구 중에서는 제주 제주시가 246건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광산구 195건, 전북 전주시 186건 등이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비중도 제주가 13.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전남 12.5%(3위), 전북 12.4%(4위), 광주 9.1% 순이었다.
특히 전북 진안군의 다문화 혼인 비중이 32.6%로 가장 높았고 진도군 28.9%, 곡성군 25.5%, 해남군 25.4%, 신안군 24.2% 등으로 집계됐다.
혼인 건수 증가로 지역별 다문화 가구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23년 기준 광주 8700가구, 전북 1만4693가구, 전남 1만6325가구, 제주 6164가구 등 2019년 대비 각각 18.4%, 전북 17.0%, 전남 16.0%, 제주 21.5% 증가했다.
전체 가구(2272만8163가구) 중 다문화 가구(41만5584가구) 비중은 광주 1.4%, 전북 1.8%, 전남 2.0%, 제주 2.2%로 조사됐다.
출생아 수는 전국 평균보다는 감소 비율이 낮았으나 2019년 이후 5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2023년 호남·제주 출생아 수는 1448명으로 전년 대비 1%(15명) 감소했다.
이 기간 전국의 다문화 출생아 수는 1만2150명으로 전년 대비 3% 감소했다.
전국의 전체 출생아 수는 23만28명으로 7.7%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전북이 436명으로 2022년보다 50명 늘었고 광주도 323명으로 9명 증가했다.
반면 전남은 492명으로 46명 감소했고 제주도 197명으로 28명 줄었다.
시·군·구별로는 광주 광산구(142명), 제주 제주시(135명), 전북 전주시(124) 순으로 다문화 출생아 수가 많았고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곳은 신안군(20.6%), 영암군(18.2%), 전북 장수군(16.9%) 순이었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광주(5.2%)·전북(6.6%)은 각각 1%와 1.1%가 증가했지만 전남(6.3%)·제주(6.1%)는 0.5%와 0.1% 감소했다.
2023년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국 평균 5.3%로 충남 6.8%로 1위였고 전북·전남·제주가 뒤를 이었다.
나다운 기자 dawoon.na@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