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8일 15대 과제·40개 사업 81조원 규모의 ‘광주시 대선공약’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AX 실증밸리 사업(인공지능 2단계)을 비롯해 미래 모빌리티 신도시, 양자·휴머노이드 딥테크 산업 기반과 내륙도시 에너지 특화 분산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 등이 담겼다.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고 5·18 구묘역을 민주공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전남도도 이날 대선 지역공약에 반영시킬 공약 75건을 발표했다. 주요 핵심은 전남도 국립의과대학 설립,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등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무안국제공항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동북아 대표 관문공항으로 육성할 방침에도 한 목소리를 냈다. 광주·전남·전북 메가시티 경제동맹을 위한 SOC 공약도 내놨다. 시·도가 내놓은 대선공약 사업 상당수가 지지부진한 상태다. ‘광주 군 공항 이전’은 대선공약으로 추진됐으나 문재인 대통령 임기 동안 단 한 발도 내딛지 못했다. ‘전남권 의대 신설’은 이명박·박근혜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채택했으나 움직임조차도 없었고, 문재인 대통령 때는 공약 채택도 안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의대 정원 확대로 의대 신설이 가시화됐지만 의정 갈등에 또 다시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지방소멸시대에 지역 경쟁력과 국민 건강 기본권 확보가 필연적이지만 과거 정부의 무관심과 지역 정치력의 무기력함에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는 평가다. 대선후보들은 지역 공약사업에 대한 중요성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새로운 정부의 실천의지를 이끌어내려는 지역의 노력도 절실하다. 이젠 더 이상 지역민과의 약속인 지역 공약 이행을 저버려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