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재 합동위령제가 지난 15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유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도 씻김굿이 열리고 있다. 김양배 기자 |
이날 합동위령제에는 유가족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김영록 전남도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등 내외빈과 정부 관계자 700여명이 참석했다. 지역 정치인들과 각 종교인들도 망자의 극락왕생을 비는 불교식 장례 의식인 49재에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위령제가 진행되는 동안 슬픔에 잠겼고, 유가족들의 눈가는 마를 새가 없었다.
한 유가족은 묵념과 헌화·분향이 진행되는 사이 눈시울을 붉히며 흐느꼈고, 다른 유가족은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만 닦아냈다.
참사 당시 사고 현장에 투입돼 수습을 이어갔던 소방 공무원들과 유가족을 지원했던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도 위령제에 참여해 희생자들을 애도했다.
희생자 179명의 이름과 조문객, 유가족의 안부 글귀가 대형 스크린에 띄워지자 공항은 또 다시 눈물바다가 됐다. 한 유족은 진정되지 않은 가슴을 내리치며 눈물을 훔쳤고, 다른 중년 남성은 화면을 똑바로 응시하지 못하고 고개를 돌린 채 침통한 표정을 지었다.
박한신 유가족 대표가 추모사를 통해 “시간이 흘러도 유가족들은 12월 29일 그날의 아픔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사랑하는 이들이 왜 그렇게 떠나야 했는지 반드시 그 진실을 밝히고,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한민국의 항공 안전을 비롯한 전반적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 소중했던 이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울먹였다.
박 대표가 추모사를 마치며 “사랑하는 이들이여 편히 쉬소서”라고 말하자 한 50대 여성이 오열을 토해내자 어린 아이는 고사리손으로 쥔 손수건으로 어머니의 눈물을 닦아주기도 했다.
합동위령제 참석자들은 이후 기독교와 천주교 등이 거행하는 종교별 위령제 의식에도 참여해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이날 오후에는 망자의 한을 풀어주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씻김굿도 진행했다.
장례 절차를 마친 뒤, 공항에 머문 유가족 20여 명은 밝혀지지 않은 사고 원인 등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했다.
한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께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무안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이 동체 착륙한 뒤 공항 시설물에 충돌해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81명 중 승객 175명과 조종사·승무원 각 2명, 총 179명이 사망했다. 승무원 2명은 기체 꼬리 쪽에 위치해 소방 당국에 의해 구조됐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