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원인 68% '사람 탓'… 논·밭두렁 소각 'NO'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환경복지
산불 원인 68% '사람 탓'… 논·밭두렁 소각 'NO'
논밭두렁 태우기 등 주원인 ||산림 70만㏊ 중 6.7㏊ 감소 ||복구까지 100년 주의 당부
  • 입력 : 2021. 03.08(월) 10:18
  • 조진용 기자

지난해 3월 고흥군 금산면 심평리 산에서 발생한 산불 모습. 서부지방산림청 제공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봄철에는 제발 논·밭 등에서 소각행위를 금지해주시길 바랍니다."

매년 봄철, 재산·인명피해로 이어지는 산불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10년간 논·밭태우기, 농부산물 쓰레기 소각, 담배꽁초로 인한 산불 발생이 68.9%를 차지했다. 이 중 봄철 산불이 60%다. 산불은 한번 발생하면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재난으로 복구까지 긴 시간과 많은 손길이 필요하다. 3~4월 시기 산불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병해충 방제를 위한 논밭두렁 태우기도 해충보다 농사에 도움이 되는 익충류가 더 많이 없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4월 담양군 월산면 월계리에서 밭을 태우던중 바람에 의해 불이 번진 모습. 담양군제공

●사람 부주의만 막아도 예방

전남지역에서 10년간(2011년~2020년) 산불 발생건수는 총 682건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1년 53건, 2012년 36건, 2013년 52건, 2014년 77건, 2015년 74건, 2016년 58건, 2017년 115건, 2018년 98건, 2019년 75건, 2020년 44건이다.

신불은 날씨가 건조한 2~4월에 집중된다. 10년간 산불 월별현황을 보면 2월 90건, 3월 203건, 4월 117건 등으로 총 410건에 달했다. 지난 10년간 발생산불의 60%를 차지했다.

봄철 산불 유형을 보면 사람들의 부주의가 가장 큰 요인이다.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원인 중 농 부산물 소각 219건(32.1%), 논·밭태우기 133건(19.5%), 담배꽁초 118건(17.3%)을 꼽았다. LPG차량가스 폭발, 폭죽놀이 등 기타는 212건(31.1%)이다. 봄철 농부산물, 논밭두렁을 태우려다 강한 바람에 의해 불티가 날아가 산불로 확대된다라는 게 전남소방본부의 설명이다.

봄철 부주의로 발생한 산불은 재산·인명피해로 이어졌다. 농부산물 소각 행위로 사망 1명, 부상 9명, 재산피해 6억6000만원이며 논·밭태우기로 사망 6명, 부상 8명, 재산피해 2억8000만원이다. 담배꽁초로 부상 1명, 재산피해 4억6000만원이 발생했다.

지난해 3월 보성군 웅치면 봉산리에서 논·밭 태우기로 인해 불이 번져 산불진화대가 불을 끄고 있다. 서부지방산림청 제공

●봄철 산불 건조한 날씨 강풍 원인

봄철 산불이 대형산불로 번지는 이유는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봄철 강수량이 적고, 봄철 나무의 수분량도 떨어진다. 침엽수 송진과 마른 낙엽은 불쏘시개 역할을 한다. 봄철 강한 바람도 산불을 키운다. 초속 15m이상 바람이 동반할때 대형산불로 이어진다. 지난 2019년 강원도 고성산불이 대형산불로 발생한 것도 초속 20~30m의 강풍이 원인이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봄철 고온 현상도 지목된다. 기온이 낮으면 산불이 쉽게 번지지 않지만, 기온이 상승하면 산불이 쉽게 번지는 원인으로 꼽힌다.

전남소방본부 관계자는 "봄은 산불 나기 좋은 환경이다. 건조주의보가 내려지는 봄철 목재 등 건조도를 나타내는 실효 습도는 30~40%대다"면서 "불이 한번 발생하면 큰불로 이어질 수 있는 최상의 기상상태라며 이런 시기에 논밭 태우기 등을 할 경우 산불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런 문제로 전남지역 산림 69만237㏊ 중 매년 봄철 부주의로 인한 산불로 6.7㏊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해 3월 장성군 북일면에서 밭을 소각하던 중 불이번져 진화대가 불을 끄고 있다. 영암국유림관리소 제공

●지자체, 봄철 산불예방 총력

봄철 산불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자체들은 산불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도는 22개 시·군에 산림재해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오는 5월15일까지 485명이 산림청과 연계된 관제 시스템을 통해 산불예찰에 나서고 있다.

인력과 산불진화 장비도 마련했다. 산불 진화대 1100명, 산불취약지 4684개소에 감시인력 1395명을 배치했고 소각산불 사전예방 합동 단속 223개 반 804명을 운영하고 있다. 진화차 102대, 산불감시 CCTV 158대를 설치했고 초기 진화를 위해 8개 권역에 진화헬기 8대(대형 1대·중형 6대·소형 1대)를 배치했다

산불 감식 전문교육을 이수한 6명으로 구성된 산불전문조사반이 산불가해자 검거 및 소각행위자 집중 단속과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지난해 산불 가해자 검거는 총 36건 중 20건을 검거했고 147건의 과태료 3336만원을 부과했다.

● '산림보호' 소각행위 중단을

산불로 파괴된 산림이 복구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봄철 각종 소각행위 근절 노력이 절실하다.

국립산림과학원 강원석 연구원은 "담배꽁초 투기, 농부산물 소각, 논·밭태우기 행위로 불탄 산림에 야생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으로 회복되기까지 35년, 산을 구성하는 나무 등 경관이 갖춰지는데 20년, 토양이 완전히 회복되는데 10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산불예방에 나서야만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논·밭태우기 관행에 대한 계도활동도 시급하다.

한국숲해설가협회 광주지부 박용식 사무처장은 "산불 예방을 위해 담배꽁초 투기도 주의가 요구되지만 병해충 방제를 위해 관행적으로 이뤄졌던 논·밭 태우기 효과가 없단 사실이 농촌진흥청 연구 결과 확인됐다. 논두렁을 태우면 애멸구, 벼물바구미 등을 일으키는 해충류는 11% 방제되지만 거미, 톡톡이 등 농사에 도움을 주는 익충류는 89% 죽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조진용 기자 jinyong.ch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