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창·김남철>광복절 의미와 자주국가를 지켜가는 길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테마칼럼
교육의 창·김남철>광복절 의미와 자주국가를 지켜가는 길
김남철 전남교육연구소 운영위원장
  • 입력 : 2024. 08.11(일) 18:42
김남철 위원장
올해는 광복절 79주년이다. 광복절은 우리나라가 잃었던 국권의 회복을 경축하고 독립정신의 계승을 통한 국가발전을 다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다. 1945년 8월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되찾고,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됨에 따라, 1949년 5월 국무회의에서 8·15일이 ‘독립기념일’로 의결됐다. 1949년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광복절로 명칭이 변경됐다.

광복 전후의 상황은 미국과 소련을 통해 전개된 군정에 따라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대한민국과 공산주의 체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됐으며, 이후 양측 모두 이날을 기념하지만 구체적인 의미가 크게 다르다. 남한에서는 1945년 8월15일에 해방되고 1948년 8월15일에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과정을 아울러 광복으로 명명해 기념하고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조국 해방의 날이라 한다.

당시 전세가 연합군 측에 유리하게 돼 1943년 11월 말에 미국·영국·중화민국 3국은 소위 카이로 선언을 발표했다. 이어 1945년 5월에 나치 독일이 항복했고, 8월8일에는 미국과 영국, 소련이 모여 포츠담 선언을 발표했다.

1945년 8월15일 일본은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했는데, 북한의 청진시에서는 소련과 일본이 서로 치열한 전투를 계속하고 있었다. 한민족은 카이로 선언과 그것이 다시 확인된 포츠담 선언으로, 그리고 8월16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정치범과 경제범이 석방돼 여운형이 해방 집회에서 연설을 했다. 한민족의 오랜 투쟁을 통한 민족의 극복으로 일제 식민지 지배에서 해방을 맞이했던 것이다.

서울 필동에 있는 한국의 집에서 1945년 8월15일 아침에 여운형이 이곳에서 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았다. 그날 아침 여운형은 엔도 류사쿠와 교섭을 벌여 5개 조항을 요구했고 이를 관철했다.

“전국적으로 경제범을 즉시 석방할 것. 서울의 3개월분 식량을 확보할 것. 치안 유지와 건국 운동을 위한 정치 운동에 대해 절대로 간섭하지 말 것. 학생과 청년을 조직, 훈련하는 데 대해 간섭하지 말 것. 노동자와 농민을 건국 사업에 동원하는 데 대해 절대로 간섭하지 말 것.”

물론 그날 중대 발표가 있으니 조선인들은 경청하라는 벽보가 나붙었으나 당시 라디오를 가진 조선인들은 많지 않았다. 더구나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발표 방송은 잡음이 심했고 어려운 한자가 섞여 있던 데다가, 결정적으로 일본 황족어로 나왔기 때문에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였다.

그러나 라디오로 방송된 문장과 개요가 당일의 신문에 기재되고 있었으므로, 일본 국민의 대부분이 패전을 이해했다. 다음 날 아침이 되자 비로소 조항 내용대로 형무소에 있었던 정치범과 경제범이 석방되기 시작했다. 그때야 서울시민들은 어제 방송이 히로히토 천황의 항복 방송인 줄 알게 되었고, 해방을 환호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광복절은 어떤 의미를 주는가? 그리고 광복절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광복절은 일제의 식민통치에서 벗어나 자유를 획득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어둠에서 다시 빛을 찾아 국권 회복과 독립정신이 빛나는 날이다. 억압과 차별, 그리고 간혹한 수탈에서 벗어나 자주독립의 시대를 열었던 날이다.

그럼에도 광복절은 건국절과 맞물려 논란이 되기도 한다. 일명 ‘건국절 논란’이다. 주로 쟁점은 “1948년 8월15일을 소위 ‘건국일’로 간주하는 주장이 타당한가?”이다. 연도를 제외한 월일은 1945년을 유래로 하는 광복절과 같은 날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광복절의 명칭을 건국절로 변경하자는 것이다. 이밖에 ‘국가’와 ‘건국’의 정의가 무엇인지,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건국 시점이 언제인지, 1919년 임시정부 수립과 1948년 정식 정부 수립 중 어느 쪽을 중시하는가 등이 쟁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의 정통성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부터 시작한 것이었음을 헌법 전문에서 명시하고 있다. 그것은 일제의 식민지배에 맞서 자주독립국가를 쟁취했던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광복절은 건국의 의미를 포함해서 자주국가로서의 위상을 세운 날로 국민들은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건국절 논란은 혼란과 갈등을 초래하는 것이기에 중단돼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경일로 기념하고, 국민이 단결해 자주국가를 지켜가는 것이 필요하다.

광복의 노래를 모르고, 광복절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모른 체 그냥 휴일로 보내는 무지와 무관심이 더 문제이다. 더구나 독립운동의 의미와 가치를 기억 계승하는 독립운동기념관의 수장에 광복의 의미를 왜곡한 친일 인물이 선임돼 논란이 되고 있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공법 단체 광복회에서 김형석 관장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국가의 정체성을 무너뜨리는 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당장 독립정신을 훼손했던 김형석 관장은 사퇴해야 할 것이다.

이제라도 광복절을 경축하고, 불행했던 일제강점기처럼 암흑의 역사가 되풀이하지 않도록 깨어있는 올바른 역사의식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