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병관리청은 10일, 지난 5월 15일부터 운영 중인 온열질환 감시체계에 따라 8일까지 전국 응급실에서 보고된 온열질환자 수가 총 1228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감시체계가 시작된 2011년 이래 가장 빠른 시기에 1000명을 넘긴 수치로, 같은 기간 작년보다 환자 수는 2.5배, 사망자는 2.7배 증가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는 8명이다.
폭염이 이어지던 지난 8일 하루 동안에만 238명의 온열환자가 발생했으며, 일일 발생 기준으로는 2018년 8월 3일 이후 처음으로 200명을 넘어섰다.
환자의 대부분은 실외(81.1%)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작업장(28.7%), 논밭(14.4%), 도로변(13.9%)에서의 활동 중 쓰러진 사례가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61.1%를 차지했으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33.6%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농어업 종사자나 야외 작업자는 한낮 활동을 피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규칙적인 휴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열대야 시기에는 실내 온습도 조절과 샤워 등 숙면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서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 등이 대표적이다. 초기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두통, 근육경련 등이 있으며 방치 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노병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