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
9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혁신위는 3선 이상 중진 의원에 대해 공천 과정에서 페널티를 주는 등 현역 의원의 기득권을 약화하는 내용과 대의원제 폐지 또는 권한 축소를 놓고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룰과 대의원제는 내년 총선 및 차기 당권과 직결된 문제여서 당내 화약고로 꼽힌다. 급기야 김은경 혁신위원회의 쇄신안 발표를 하루 앞두고, 당 지도부의 확대 간부회의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했다.
친명계(친이재명)의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대의원제 폐지를 주장하며 의원총회에서 결정하지 말고 전 당원 투표에 부치자고 주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대의원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반드시 없애야 한다”며 “아무리 힘 센 제왕들이 민주주의를 막을 수 없었듯 민주당 민주주의 ‘1인 1표’는 누구도 막을 수 없다. 지금이 바꿀 수 있는 적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의원제 폐지는 전 당원의 문제”라며 “당 구성원의 일부인 의원총회에서 결정할 사항이 아니다. 전 당원 토론과 전 당원 투표로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은숙 최고위원도 “당의 주인은 당원이다. 당원의 주인이기에 당원이 대의원의 60분의1 표를 갖는 것은 옳지 않다”며 정 최고위원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반면, 양소영 대학생위원장은 “혁신위가 총선과 전혀 상관없는 국민 관심 밖인 당권에 매몰된 대의원제를 놓고 혁신인 듯 외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양 위원장은 “아직 시간이 남아있다”며 “당 변화와 혁신에 대해 지도부의 결단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홍배 전국노동위원장도 지도부에 대의원제 폐지 논의에 대해 신중을 기해달라고 했다.
박 위원장은 “민주당은 2011년 12월16일 당시 민주당과 시민통합당, 한국노총의 합당 선언에 의해 만들어졌다”며 “한국노총과 민주당의 영구적, 항구적인 정책 연대 관계는 대의원제와 노동권리당원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고 말했다.
당 밖에서도 계파간 갈등이 터졌다.
비명(비이재명)계의 이원욱 의원은 이날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혁신위의 대의원제 및 공천룰 개정 검토에 대해, “비명계 공천 학살을 위한 밑그림”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이 의원은 “지난해 중앙위원회 72%의 찬성으로 만들어진 공천룰이 있다. 원래 공천룰은 당헌상 1년 전 확정하도록 돼 있다”며 “공천룰을 자꾸 손보겠다고 하는 것 자체가 비명계 의원들에 대한 학살 작업으로 보여진다”고 의심했다.
반면, 친명계 김영진 의원은 이날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비명계의 공천학살 우려와 관련해 “혁신위는 혁신위 나름의 원칙과 기준을 두고 논의하고 제안한다. 누구의 무슨 하명 혁신은 아니지 않냐. 과도한 오해”라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혁신위가) 출범했기 때문에 잘 마무리하고 끝내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친명계 원외인사들이 중심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이날 현역의원 절반 이상을 바꿀 수 있는 공천룰을 혁신위에 요구했다.
더혁신회의는 “대대적인 물갈이 즉, 현역의원 50%의 물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대대적인 공천룰 혁신안이 발표돼야 한다”며 “그 안을 정하는 기준은 하나다. 현역 의원의 기득권 옹호냐 기득권 내려놓기냐 둘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이들은 “당심을 거스르며 사익을 챙기는 자는 이미 정치인으로서의 자격을 상실한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10일 발표 예정인 혁신안에 대해 1차 판단을 내린 뒤 의원총회를 열어 전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다음 주 정책의총이나, 28~29일 당 의원 워크숍에서 전체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울=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