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광주시교육청 별관 2층 브리핑룸에서 고려고등학교 문형수 교장 등 학교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고려고는 상위권 학생을 위해 성적을 조작하는 부도덕한 학교가 아니다"며 광주시교육청의 특별감사 결과에 반박하고 있다. 뉴시스 |
"우리는 상위권 학생을 위해 성적을 조작하는 부도덕한 학교가 아니다"고 해명함과 동시에 감사 결과를 '교육 권력의 횡포'라며 규탄했다.
고려고 교장과 교감을 비롯한 교사와 학부모들은 22일 광주시교육청 별관 2층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A4용지 20여장 분량의 자료를 통해 시교육청 특별감사 결과에 항변하고 나섰다.
학교 측은 "시험지 유출 의혹은 교사의 단순 실수 문제로, 규정과 절차에 따라 재시험을 치렀다"며 "최상위권 특혜라는 우열반 편성도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수준별 이동수업이며, 이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더욱 필요한 제도"라고 주장했다.
또한 "점수를 의도적으로 올려준 사실은 절대 없다. 명문대 진학 실적을 위해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제한하고 교육과정을 불일치하게 편성·운영한 것은 대다수 고교의 문제"라며 반발했다.
'대입 학교장 추천 전형 부실 운영'에 대해서는 "종합전형에 대한 학부모 불신, 그리고 비교과 영역이 더 좋아서 추천했다가 불리하게 작용했던 과거 타 고교 사례 등에 비춰볼 때 '절대 내신'으로 추천하는 것이 가장 공정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토요 논술교실과 자율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수익자 부담 원칙의 자율동아리로, 기숙사 학생들에게만 시켰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기숙사 운영도 원거리, 가정환경, 배려 대상자를 고려해 1, 2, 3학년 모두 90명 안팎으로 공정하게 선발했다. 그러나 필요 없는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 이번에 전격 폐쇄했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시교육청에 조작·비리에 대한 명백한 증거를 제시할 것과 협박·조작 감사에 대한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학교 측은 "교육청 지침을 일부 위반한 점은 있으나 이른바 '입시학원화'했다는 말은 사실이 아니다. 결단코 고발과 파면, 해임, 교사 80%가 징계받을 만큼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지는 않았다"며 "시교육청은 겁박과 조작으로 이뤄진 감사를 시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별 감사 결과 문제 유출 의혹, 성적 처리,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대한 심각한 문제점이 발견됐으며, 학교 측의 주장도 결국 이를 인정하면서 변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에 근거해 징계를 요구했을 뿐"이라고 일축했다.
한 고려고 졸업생은 "원하는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에 매진했던 중·하위권 학생들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어버린 후안무치한 행위"라며 "정말 이 같은 비리·조작이 사실이라면 이전에는 더욱 극심했을 것이다. 과거 행적까지 낱낱이 따져 사실을 밝히고, 죄지은 사람들은 벌을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광주교사노조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등도 "대한민국 교육의 근간을 뒤흔든 고려고는 '근조 현수막'을 철거하고 자중해야 한다. 특혜와 편법, 탈법 학사 운영에 대해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이날 학교관리자들을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노병하 기자 bh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