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데이터센터 운영예산 전액 반영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국가 AI데이터센터 운영예산 전액 반영해야”
광주상의, 기재부·국회에 건의문
“지역사업 아닌 국가 기반 시설”
  • 입력 : 2025. 04.21(월) 16:11
  •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
광주상의
광주상공회의소는 21일 광주 국가 AI데이터센터의 정상적인 운영과 디지털 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해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 운영예산 670억원 전액을 반영해줄 것을 기획재정부와 국회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광주상의에 따르면 AI데이터센터는 전국 900여 개 기업이 약 2000건의 AI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국가 단위의 공공 인프라다. 고성능 GPU 연산장비,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 보안 인증 체계, AI 테스트베드 등을 통합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이 고비용 인프라 없이도 AI 기술 개발과 실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검토 중인 이번 추경안에는 총 670억원 규모의 운영예산 중 단 25억원만이 반영된 상황이다.

이에 광주상의는 “국가적 활용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간과한 처사”라면서 정부가 해당 사업을 단순한 ‘지역사업’으로 한정해 분류한 점에 대해 재검토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AI데이터센터의 정상적인 운영과 디지털 산업 생태계 유지를 위해 이번 추경에 운영예산 670억 원 전액을 반영해야 한다”며 “AI데이터센터가 특정 지역이 아닌 국가 전체가 활용하는 전략적 기반시설임을 고려해 향후 본예산 및 중장기 재정계획에 안정적으로 반영되도록 ‘국가사업’으로서 정당한 예산 배분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상의는 “AI 반도체, 초거대 언어모델, 자율주행,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 상황을 감안할 때, 공공 AI 인프라 확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민간 클라우드 대비 비용 절감 효과가 탁월하다는 점에서 센터의 실효성과 실수요 기반이 이미 입증됐다. 중장기적 기반시설 구축과 안정적 운영이 병행돼야 AI 기술 주권 확보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