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의 문이 열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탄핵 찬성·반대 의견은 이같이 집계됐다.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지난주보다 1%포인트(p) 줄었고,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 역시 2%p 감소했다. ‘모른다’는 응답(9%)은 지난주보다 3%p 늘었다.
이념 성향 별로는 진보층에선 ‘탄핵 인용’ 의견이 89%, 보수층에선 ‘탄핵 기각’ 의견이 67%를 차지했다. 중도층의 경우 ‘탄핵 인용’은 65%, ‘탄핵 기각’은 26%였다.
탄핵 심판 전망에 대해서는 ‘탄핵을 인용해 파면할 것이다’라는 응답이 55%,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킬 것이다’라는 응답은 34%로 조사됐다.
‘파면 전망’ 응답은 지난주에 비해 4%p 올랐고, ‘탄핵 기각 전망’ 의견은 5%p 내렸다.
헌재의 탄핵 심판 과정에 대한 신뢰도를 두고는 ‘신뢰한다’는 답변과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46%로 동률이었다.
전주와 비교해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은 7%p 감소했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6%p 증가했다.
진보층과 중도층에선 신뢰한다는 답변이 각각 55%, 51%로 과반이었지만, 보수층에선 반대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55%로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탄핵 심판 결과와 관련해 응답자 50%는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을, 44%는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냈다. 두 응답 간 차이는 6%p로 오차범위 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은 6%p 줄어든 반면,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은 4%p 늘었다.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탄핵 인용’을 주장하는 응답자 중에선 51%, ‘탄핵 기각’을 주장하는 응답자 가운데서는 41%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22.4%(총 4476명과 통화해 그 중 1001명 응답)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