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미충원에 코로나 재유행…지역의료계 ‘우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의료건강
전공의 미충원에 코로나 재유행…지역의료계 ‘우려’
광주 대학병원 레지던트 모집 실패
코로나19 확진자 등 응급환자 급증
지역의료노조, 파압 찬반투표 진행
“현장 인력에 모든 업무·책임 전가”
  • 입력 : 2024. 08.20(화) 18:28
  •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
최근 코로나19가 다시 빠르게 확산하면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가 다시 빠르게 확산하면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급증한 가운데 의정갈등 여파로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고 있고 신규 충원도 되지 않아 지역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광주 수련병원들은 이에 대비해 올 하반기 전공의 재모집에 나섰지만 또 다시 지원자가 없어 위기 상황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가운데 초·중·고등학교 개학과 추석연휴 등을 앞두고 코로나 확진자는 물론 응급환자도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홍정익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장은 지난 19일 YTN 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인터뷰를 통해 “지금 코로나 환자 수는 작년 8월의 절반이지만 최근 2년간의 여름철 유행 동향과 추세를 분석할 때 월말에는 작년 최고 수준인 주당 35만명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홍 국장은 “이같은 현상이 이례적이지는 않다. 코로나19는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유행했다. 냉방 이용에 따른 환기 부족 등이 영향을 미친 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현재 ‘관심’ 수준인 코로나19 감염병 위기단계나 4급인 감염병 법정 등급을 높일 계획은 없다고 했다. 대신 기존 감염병 예방 수칙을 강조하며 환자 추이를 지켜보다 추석 연휴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의대 증원 사태로 인한 인력 부족이 6개월간 이어지면서 환자 수용 역량 급감으로 응급실에서 환자를 수용할 수 없어 벌써부터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광주 수련병원인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 모두 올해 하반기 신규 전공의 채용을 위해 레지던트 모집 공고를 두 차례 냈으나 지원자가 전무해 인력 충원에 실패했다. 아울러 주요 병원 보건의료 노동조합이 속속 조합원 파업 찬반 투표에 나서면서 쟁의 초읽기에 돌입해 앞으로 펼쳐질 의료 공백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보건의료노조 광주전남본부 산하 조선대병원·호남권역재활병원·순천성가롤로병원 등 지회 3곳은 이날부터 22일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 나선다. 보건의료노조의 주요 요구사항은 임금인상과 조속한 진료 정상화 등이다.

이들 병원 노조 3곳 모두 전남지방노동위원회에 이미 노동쟁의 조정신청서를 제출, 조정 절차 중이며, 나란히 이달 22일과 28일 병원 측과 조정 기일이 잡혀있다. 각 노조 단위로 노동쟁의 찬반 투표에서 찬성이 과반수를 넘고, 조정마저 최종 결렬될 경우 파업 돌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대표 상급종합병원인 전남대병원 보건의료노조도 이르면 21일 노동쟁의 조정 신청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수련병원 응급의학과에 근무 중인 의사 A씨는 “앞으로 벌어질 상황은 의사들 사이에서 연초부터 예상됐던 그림이다. 전염병은 언제든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의료 공백은 계속 해결되지 않고 있으니 어쩔 수 없이 남은 사람들에게 모든 업무와 책임이 전가되고 있다”며 “의사들을 포함한 모든 의료 인력이 지칠대로 지친 상황 속에서 전공의 채용 실패, 코로나19 재유행. 여기에 의료 인력 파업까지 더해진다면 추석 즈음이면 말그대로 ‘지옥’의 상황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지난 19일 국무회의에서 코로나19 치료제 추가 구매를 위해 예비비 3268억원을 의결하는 등 긴급 상황 시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했다. 질병관리청은 추가 도입되는 물량은 다음주까지 전국 담당 약국에 충분히 공급해 치료제 공급을 안정화할 계획이다.

광주시도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자치구 보건소, 감염병관리지원단과 공동으로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광주시는 우선 자치구별 감염병관리 부서와 감염취약시설 담당부서가 협력해 집단발생 감시를 강화한다. 또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시설별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집단발생이 발생하면 고위험군 중심으로 우선 보호에 나설 방침이다.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