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
여성가족부는 29일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되는 통계조사로, 2021년 첫 조사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경험이 있는 전국 9세~18세 청소년 462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20일부터 9월13일까지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이들의 33.0%는 지난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 조사(26.2%) 대비 6.8%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는 여 40.5%, 남 25.6%로 여성 청소년이 남성 청소년에 비해 우울감을 더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살을 시도해본 적 있는 위기청소년은 8.2%로 2021년(9.9%) 대비 1.7%p 감소했지만, 자해를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21.5%로 같은 시기 대비 2.8%p 증가했다.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는 ‘심리불안’이 37.3%로 가장 높았다. 가족 간의 갈등(27.0%), 학업문제(15.0%), 선후배나 또래와의 갈등(8.0%), 미래에 대한 불안(7.0%) 등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문제를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로 꼽은 응답은 2021년(4.7%)과 비교해 10.3%p나 증가했다.
은둔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25.8%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이 한창이던 2021년에는 46.7%였으나, 2024년에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외출을 하지 않고 집에서 지냈던 기간에 대해서는 ‘1개월 미만’이 69.5%로 가장 높았다. 이어 1개월 이상~3개월 미만(19.5%), 3개월 이상~6개월 미만(6.9%), 6개월 이상~1년(4.1%) 순으로 조사됐다.
가출 경험에 대한 응답 역시 2021년(32.6%) 대비 4.9%p 줄어든 27.7%로 조사됐다. 집을 나오게 된 주된 이유는 가족과의 갈등이 69.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유로운 생활(34.3%), 가정폭력(26.3%) 순으로 나타났다.
가출 후 생활공간은 ‘친구 또는 선후배 집’이라는 응답이 58.3%로 가장 높았다. 청소년쉼터에서 지냈다는 응답은 30.2%로 2021년 대비 2.7%p 증가했다.
위기청소년의 17.3%는 디지털 성범죄 및 개인정보유출 등 온라인 인권침해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때 가해자는 ‘모르는 사람’이라는 응답이 54.1%로 가장 높았다. 친구·선후배 등 주변의 아는 사람에게 피해를 당했다는 응답은 28.1%였다.
또 19.7%는 친구·선후배 등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15.9%) 대비 3.8%p 증가한 수치다. 성폭력·스토킹 피해 경험률도 6.3%로 2021년과 비교해 2.0%p 증가했다.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폭력을 당했다는 응답은 2021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신체폭력의 경우 44.4%에서 42.9%로 감소했고, 언어폭력도 46.0%에서 44.6%로 줄었다.
위기청소년들의 90.4%는 어렵고 힘들 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있다’고 답했다. 도움을 청할 주요 대상은 부모님 또는 보호자라는 응답이 73.0%로 이전 조사와 비교해 8.8%p 증가했고, 친구·선후배라는 응답도 70.8%로 나타났다.
위기청소년들이 희망하는 지원 서비스는 ‘일자리 제공(77.0%)’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제적지원(74.9%), 직업교육훈련·자격증취득(74.6%), 건강검진 제공(74.1%), 각종 질병 치료(72.1%), 다양한 청소년 활동 참여 기회(70.1%) 순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아르바이트를 할 때 업무 내용이나 급여, 근로시간, 휴일 등 내용이 모두 포함된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48.0%로 2021년(40.2%) 대비 7.8%p 증가했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상담1388’과 전국 24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자살·자해 및 학교폭력 등 위기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위기청소년안전망시스템을 통해 교육부·복지부·경찰청·병무청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활성화해 위기청소년 발굴도 확대할 예정이다.
여가부 관계자 “이번 조사를 통해 심리·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위기청소년이 고위험으로 가지 않도록 보다 세심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들을 조기에 발굴해 전문적인 상담과 함께 주거·취업지원 등 맞춤형 지원을 더욱 확대해, 청소년들이 보다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노병하 기자·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