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젊은 의사 의료계엄 규탄 집회’에서 사직 전공의를 비롯한 젊은 의사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뉴시스 |
7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은 성인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개혁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를 수행하고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현재 의정갈등을 의정 갈등은 ‘막을 수 있던 갈등이다’라고 답한 비율은 69% 였던 반면 ‘아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31%에 그쳤다.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해결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전체의 과반을 넘는 54%가 의료개혁, 의사증원 정책 등이 현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해결될 가능성은 낮다고 답했다.
해결 가능성을 낮게 본 응답자 540명에게 ‘어느 방향으로 갈 때 해결 가능성이 있으리라 보십니까?’를 추가 질문한 결과 전혀 다른 제3의 방안(38.0%), 기존 정부 방안의 수정안(35.4%) 기존 의사 단체가 제시한 방안(14.4%) 순이었다. 나머지는 잘 모르겠다·입장이 없다를 택했다.
의정 갈등 장기화에 대해서는 전체의 45.4%는 ‘갈등과 문제가 있으므로 의료 개혁 안을 수정하거나 추진을 보류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37.7%는 ‘갈등과 문제가 있더라도 의료 개혁을 지속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갈등과 문제가 있으므로 개혁안을 전면 무효화·백지화해야 한다’의 응답은 9.9% 수준이었다.
의정갈등이 해결되지 않을 때 초래될 결과의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는 ‘심각하다’는 인식은 전체의 75.5%로, ‘보통(22.1%)’이나 ‘심각하지 않다(2.4%)’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 2월 정부가 제시한 ‘2000명 증원 방안’에 대한 동의 여부에는 전체의 46.4%가 ‘2025년의 의대 모집 정지나 증원 백지화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전체의 28.8%가 의대 모집 정지나 증원 백지화가 여전히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12월 3일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그 이후 상황으로 귀하의 보건의료 정책 관련한 정부 신뢰(믿음의 수준)에 변화’를 묻는 질의에서는 정부 신뢰가 ‘낮아졌다’ 53.8%, ‘변화가 없다’ 37.0%, ‘높아졌다’ 9.2%로 나타났다.
의정 갈등의 장기화로 피로감이나 스트레스를 느끼는 국민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전체의 70%는 스트레스나 피로감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또한 의료개혁·의사증원 정책을 둘러싼 의정갈등으로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88.0%, 아니라는 응답은 12.0%로 나타났다.
의사의 지역·진료과별 배치 불균형에 대해서는 심각한 문제(87.6%), 심각한 문제 아니다(9.4%) 순이었으며, 의사 수에 대한 평소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모자란다‘가 57.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정(26.9%), 초과(6.5%)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24년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이뤄졌다. 응답 자료는 연구진이 개발한 문항을 전문 조사업체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역·성·연령) 비례 할당 표집 방식으로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에게 웹조사 및 모바일조사 병행으로 수집했다. 응답 자료의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3.10%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