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윳값 인상에 동네 카페·빵집 업주들 ‘한숨’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우윳값 인상에 동네 카페·빵집 업주들 ‘한숨’
유업계, 이달부터 유제품가격 올려
자영업자들 원재료 비용 부담 가중
‘손님 끊길라’ 인상분 반영 어려워
각종 원가 상승 압박에 ‘속앓이만’
  • 입력 : 2023. 10.04(수) 15:46
  • 박소영 기자 soyeong.park@jnilbo.com
지난 1일부터 우유와 유제품 가격이 일제히 오른 가운데 4일 광주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우유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우유 제조업체들이 이달 들어 우유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면서 유제품을 사용하는 영세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동네 카페나 빵집의 경우 주재료인 우윳값 인상은 곧 수입 감소로 이어지는데, 값싼 우유로 바꾸면 품질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또 인상분을 반영하면 손님이 떨어질까 우려되기 때문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 낙농진흥회가 우유 원재료인 원유 가격을 ℓ당 88원 인상한 1084원으로 결정하면서 원유 가격은 지난해 대비 8.8% 상승했다. 원윳값이 ℓ당 1000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0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오른 원윳값에 주요 유업체들은 인상률이 시행된 지난 1일부터 흰 우유 제품 판매 가격을 올렸다.

서울우유협동조합(서울우유)의 경우 흰 우유 제품인 ‘나100%우유(1ℓ)’ 출고가를 대형할인점 기준으로 3% 올렸다. 매일유업도 우유 제품 가격을 4~5%가량 올렸고, 남양유업 역시 ‘맛있는우유GT(900㎖)’ 출고가를 4.6% 인상했다. 빙그레는 오는 6일부터 흰 우유 제품인 ‘굿모닝우유(900㎖)’ 가격을 5.9% 올린다.

유업체들은 소비자 부담과 정부 요구를 감안해 대형마트 흰 우유 판매가를 ℓ당 3000원 미만으로 책정해 한 팩(900㎖~1ℓ) 가격은 2900원 후반대로 형성됐다.

편의점에서는 흰 우유 한 팩(900㎖~1ℓ) 가격이 이미 3000원을 넘어섰다. 인상 전 한 팩 가격은 3000원~3050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1일 이후 남양유업의 ‘맛있는우유GT(900㎖)’의 경우 150원(4.9%) 오른 3200원으로 껑충 뛰었다. 서울우유 역시 편의점 흰 우유 200㎖ 제품 가격을 기존 1100원에서 1200원으로 9.1%나 인상했다.

원윳값과 인건비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흰 우유 제품 판매가가 오르면서 우유가 사용되는 빵, 아이스크림 등의 가공식품 가격도 덩달아 인상되는 ‘밀크플레이션(밀크+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 지난해에도 낙농진흥회가 원윳값 인상을 결정한 뒤 우유 판매가가 오르자 연쇄적으로 빵 가격은 6%대로 오르고, 아이스크림과 커피 가격도 10%가량 급등한 바 있다.

이처럼 우유 가격이 일제히 오른 가운데 개인 카페, 빵집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고충은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자영업자들은 밀가루, 계란 등에 이어 우윳값까지 각종 원재료 가격이 오르자 ‘팔아도 남는 게 없다’고 토로하고 있다.

광주 동구에서 카페를 운영 중인 자영업자 A씨는 “카페라는 업장 특성상 판매 메뉴의 60~70%는 우유를 사용하고 있다”며 “우윳값이 올랐으니 매장 메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동네에서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장사를 하는 입장에서 가격을 올리는게 쉬운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A씨는 “전기세와 가스비 등 각종 공공요금 인상에다 건물주가 임대료까지 올려 안 그래도 힘든데 우윳값마저 올라 당장이라도 매장 문을 닫고 싶다”고 한탄했다.

서구에서 빵집을 운영하고 있는 B씨도 “주재료로 우유뿐 아니라 치즈와 버터 등 유가공제품 대부분을 사용하고 있는데 앞으로 가격이 더 오른다고 하니 답답할 뿐이다”며 “동네 빵집 특성상 손님들이 가격 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데 섣불리 가격을 올렸다가는 매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편이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박소영 기자 soyeong.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