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신방직, ‘지역 살리는’ 공공기여 모색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전남·일신방직, ‘지역 살리는’ 공공기여 모색해야”
●부지 개발 공공기여 정책 토론회
광주천 연결·여성 노동자 삶 등 반영
수십년 소음·분진 피해 주민 고려도
금타 이전에 사전협상제 마련 제안
  • 입력 : 2023. 05.10(수) 17:58
  • 김해나 기자 haena.kim@jnilbo.com
안평환 광주시의원은 10일 시의회에서 ‘전·일방 부지 개발 공공기여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광주시의회 제공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와 호텔 등이 들어설 예정인 전남·일신방직터 개발과 관련 주변 환경과 연계한 ‘지역을 살리는’ 공공기여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유빈 지역공공정책플랫폼 광주로 상임연구원은 10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전·일방 부지 개발 공공기여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의 정책 토론회에서 “사업 대상지 외 챔피언스필드와 광주천으로 향하는 도보 환경은 열악하다”며 “차량 없이 모든 것이 연결되는 녹색 순환 체계 조성을 위해 주변부 도보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상임연구원은 “공공기여 시설은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을 때 더욱 입주자의 편익 시설이 될 것이다”며 “광주천으로 이어지는 도보 정비를 통해 보행 접근성을 높이고 기존 녹지 공간을 활용해 지역 도심 하천을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주변 환경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진정한 공공기여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영석 전 광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도 “공공기여는 환수 규모뿐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는가가 핵심이고, 문화자산의 보존과 연계된 기여 가치가 중요하고, 무늬만 공공기여는 배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방직터 부지는 소외된 채 찾는 이 없고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잊혀진 장소였다”며 “역사문화 공간과 보행 공간 간 다양한 변화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지역을 살리려면 인근 주민들의 피해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오주섭 광주경실련 사무처장은 “방직터 주변 주민들은 지난 수십년 동안 공장 가동과 공장 일부 폐쇄로 인해 소음·분진 피해를 입었다”며 “이들을 위한 공공기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사무처장은 “공공과 민간은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중간 조정자 역할이 중요하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이 이전하게 되면 또 사전협상을 해야 한다”며 “전문가를 포함한 3자 협상조정협의회가 있는 서울시 사례를 참조해 사전협상제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안평환 시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전·일방 부지 어떻게 제대로 개발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제1차 토론회에 이은 제2차 토론회로 공공기여 방식에 대해 전문가와 시민대책위원회, 시민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지난해 11월 협상조정협의회를 구성한 뒤 본협상에 착수, 현재까지 8차례 회의를 했고,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는 대로 오는 7월까지 사전 협상 마무리, 내년 하반기까지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를 완료할 계획이다.

광주 전·일방사업자인 휴먼홀딩스는 사업제안서를 통해 도로와 공원, 학교 용지, 공영주차장, 보행데크 등을 설치키로 하고, 이를 위해 토지가치 상승분의 48.3%인 약 2500억원을 공공기여하기로 했다.

한편 전남·일신방직은 1935년 일본 방직업체가 설립한 공장이 모태로 1934년 종연방직(가네보방직)으로 출발했다. 해방 이후 정부에서 관리하다 1951년 민간에 불하돼 전방㈜으로 민영화된 뒤 다시 1961년 지분 분할로 일신방직이 추가로 설립됐다. 두 공장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여성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여성근로자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대표적인 근대산업 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김해나 기자 haena.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