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법련사에서 제45주년 광주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추모재가 봉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 5·18 민주화운동 서울기념사업회,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대불련)는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법련사에서 ‘제45주년 광주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추모재’를 봉행했다.
5·18 희생자 유족 등이 함께한 가운데 열린 추모재에서 참가자들은 헌화·삼배 등을 하며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극락왕생을 발원하고 5·18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마음을 모았다.
이날 조계종 사회노동위원장 지몽스님은 “민주화 운동에서 희생된 영령들이 부처님의 품 안에서 아픔이 녹아나고 평안을 얻기를 발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도 5·18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인 사실을 폄훼하고 왜곡하는 무리가 있다”며 진실을 알리기 위해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가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용만 5·18민주화운동서울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1980년의 비극을 되풀이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 시민들의 의지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에 저항하는 실천으로 이어졌다며 추모재가 “폭력과 억압으로부터 고통받는 수많은 사람이 그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힘을 보태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불련 전남지부장으로서 시민군과 함께 전남도청에서 끝까지 저항하다 계엄군에 희생된 김동수 열사도 추모했다.
유주연 대불련 중앙회장은 “청년 세대가 누리고 있는 많은 것들은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며, 누군가의 치열한 외침과 숭고한 희생 위에 만들어졌다”며 김동수 열사를 비롯한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에게 “대학생 불자들의 마음을 모아 감사와 존경 그리고 애도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정유철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