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KFC, 맥도날드, 롯데리아 등 일부 패스트푸드 브랜드들의 햄버거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햄버거마저 ‘서민 음식’의 대열에서 사라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 서구의 한 버거 프랜차이즈 매장. |
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제품 가격을 인상한 대형 버거 프랜차이즈는 노브랜드 버거, KFC, 맥도날드, 롯데리아 등 네 곳이다.
롯데리아는 재료비 부담·가맹점 수익 보호 등으로 인해 8일부터 버거 및 디저트 품목의 가격을 인상한다.
이번 가격 조정안에 따르면 버거류 20여종의 평균 가격은 2.2% 인상되며 디저트류 68여개 품목의 가격은 평균 3.3% 오를 예정이다. 롯데리아 대표 메뉴인 리아 불고기, 리아 새우는 단품 기준 100원 올라 4700원에서 4800원이 된다. 세트 메뉴는 6900원에서 7100원으로 200원 인상된다. 가격 인상 폭이 가장 큰 한우 불고기 버거와 더블 한우 불고기 버거의 경우 단품 기준 200원, 세트 기준 300원 오른다. 한우 불고기 버거는 단품 8600원, 세트 1만500원으로, 더블 한우 불고기 버거는 단품 1만2600원, 세트 1만4500원으로 인상된다.
롯데리아는 △ 2021년 평균 4.1% △ 2022년 평균 5.5% △ 2023년 평균 5.1% 등으로 지난 2021년 이후 매년 꾸준히 가격을 올려왔다.
지난 6월에는 KFC가 가격 인상에 나섰다. 인기 메뉴인 징거버거와 프렌치프라이·콜라로 구성된 징거세트 가격은 7900원으로 100원 인상됐고, 핫크리스피 치킨과 핫크리스피 통다리 1조각은 각각 300원 올랐다. 일부 메뉴는 가격을 인하하기도 했다. 단품에서 세트로 업그레이드하는 세트업은 300원, 세트에서 박스로 업그레이드하는 박스업은 100원 저렴해졌다. 칠리 징거 통다리 세트는 300원, 클래식 징거 통다리 박스는 100원 인하됐다.
맥도날드 역시 지난 5월 전체 제품의 22%에 해당하는 16개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을 100~400원 인상했다. 전체 평균 인상률은 2.8%로, 이번 가격 인상은 지난해 11월 13개 메뉴 가격을 평균 3.7% 인상한 이후 6개월 만이다. 인기 메뉴인 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의 단품 가격은 그대로지만, 세트 가격은 6900원에서 7200원으로 300원 올랐다. 그 외 버거 단품 메뉴 중 햄버거·치즈버거·더블 치즈버거·트리플 치즈버거는 각 100원, 불고기 버거는 300원, 에그 불고기 버거는 400원 인상됐다.
미국 맥도날드의 경우 고물가·경기침체 장기화의 여파로 저소득층 소비자들의 소득이 줄어들자 가격을 인상했음에도 매출이 감소한 바 있다. 더 이상 저렴하지 않은 패스트푸드에 소비자들이 발길을 돌린 것이다.
현지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맥도날드 2분기 판매량은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 4분기 이후 처음 감소했다. 올해 2분기(4∼6월) 글로벌 동일 매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줄어든 64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맥도날드 측은 “미국 내 매장의 경우 메뉴 가격 인상으로 평균 결제액이 증가했지만, 방문 고객 수가 줄어 동일 매장 판매가 전년 대비 0.7% 줄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성장세가 둔화한 게 실적 부진의 주된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에 광주지역 소비자들도 햄버거 가격 인상에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광주 동구의 한 대형 버거 프랜차이즈에서 만난 정환재(30)씨는 “예전과 달리 햄버거를 먹으려고 하면 기본 1만원은 나오는 것 같다. 체감상 거의 두 배는 오른 기분이다”며 “저렴한 가격에 간단하게 끼니를 때우고 싶을 때 종종 햄버거를 찾았는데, 이제 햄버거를 더이상 ‘서민 음식’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성인 남성은 햄버거 하나로 배가 차지 않아서 오히려 지출이 커질 때도 많다. 식비를 아끼려면 마트나 편의점에서 간편식을 사 먹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20대 우모씨는 “식자재비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인해 가격이 오르는 건 어쩔 수 없지만, 물가가 안정되고 재료비가 하락해도 가격인하가 이뤄지지 않는 것은 큰 문제다”며 “분식집에 가도 김밥 한줄이 5000원에 달하고 떡볶이나 치킨은 2만원에 육박한다. 최근에 부담 없이 무언가를 구매했던 적이 있나 싶다. 무엇보다 고물가·경기침체 장기화가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토로했다.
나다운 기자 dawoon.na@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