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10일 광주 서구 치평동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군 공항 이전 관련 협의를 하고 있다. 나건호 기자 |
지난 1993년 김포공항을 출발한 여객기가 목포공항 착륙 과정에서 순간 강풍과 안개로 해남군 화원면 뒷산에 추락, 66명이 희생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역민들은 잦은 안개에도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는 새 공항을 희망했고, 그 대안이 무안공항이었다.
당시 지역민들은 광주·목포공항의 국내·국제선 수요를 무안공항에 맡기는 것을 전제로 지난 1997년 공항 건설을 추진했다. 그로부터 11년간 3056억원의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무안공항이 문을 열었다.
2002년과 2006년 각각 발표된 2, 3차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은 무안공항 개항 시 광주·목포공항의 기능이전을 명시했다. 하지만 2007년 11월 무안국제공항 개항을 앞두고 광주 지역민들이 광주공항 기능 이전에 반대하고 나서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당시 건설교통부가 중재에 나섰고 결국 ‘광주공항 국제선 이전, 국내선 존치’로 결론을 냈다. 이와 함께 향후 광주-무안 고속도로 전 구간이 완공되면 광주시와 시민들의 뜻을 존중해 운영방향을 결정키로 했다.
이후 잠잠했던 광주공항 국내선 이전문제는 감사원이 2009년 6월 한국공항공사 기관 감사를 통해 광주·무안 두 공항의 통합운영 등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라며 국토부를 압박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광주지역 관광업계가 광주공항 국제선 유치위원회를 발족하면서 갈등이 증폭됐다. 전남도와 경제단체 등은 “광주공항 국제선 유치를 즉각 중단하고 무안공항 이전을 조속히 이행하라”고 반발했다.
그러자 박광태 광주시장은 “2014년 호남고속철도가 완전 개통되더라도 광주공항 국제선은 반드시 존치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논란을 확산시켰다.
이후 광주공항 이전 문제를 위한 광주시와 전남도 간의 해법 모색은 요원해졌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2016년 4조3800억원 규모의 김해공항 확장안을 발표하면서 민선 6기 광주시와 전남도가 서남권 공항 활성화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군공항 포함 광주공항 기능 이전을 담은 내용을 발표했지만 정부의 약속 미이행으로 흐지부지됐다.
광주 민간공항 이전에 대한 ‘통 큰 결정’은 민선 7기 시절인 2018년때 이뤄졌다. 당시 이용섭 광주시장 당선인은 "광주 민간공항을 조건 없이 무안공항으로 이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후 민선 7기 출범 직후인 2018년 8월20일 상생협약이 이뤄졌다. 광주와 전남은 광주민간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2021년까지 통합하는 데 전격 합의하고 광주 군공항의 전남 이전에도 서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당시 협약문은 시·도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에 공감대를 형성한 점, 이를 위해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 문제를 연계 해결하겠다고 구상한 점 등 광주·전남의 현안을 공동 대응하기로 해 의미 있는 상생을 이뤄냈다고 평가받았다.
하지만 광주, 전남, 무안간 3자 합의는 ‘선언적 구호’에 그쳤다. 이후 민간공항 이전 논의는 수면아래로 내려갔다.
민선 8기 이후 또다시 광주 군공항과 맞물려 민간공항 이전 논의가 새로운 전기를 맡고 있다.
지난달 광주군공항 이전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민선 8기 광주시와 전남도가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함평군은 군공항 유치를 선언했고 이 과정에서 민간공항 이전에 대한 광주시와 전남도간 미묘한 갈등도 보였다.
하지만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 10일 회동을 갖고 2018년 협약 파기 등 3가지 안에 합의했다.
합의를 한 지 불과 닷새 만인 15일 김 지사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와 서남권 발전을 위해 도민께 드리는 담화문’을 통해 광주 군·민간공항을 ‘무안 동시 이전’을 천명했다. 강 시장도 담화문 발표와 관련 “감사하다”고 답하며 오랜기간 지지부진했던 무안공항으로의 광주 민간공항 이전 논의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김성수 기자 seongsu.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