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평양드론' 김용대 사령관 재소환…작전준비·은폐 추궁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법원검찰
특검 '평양드론' 김용대 사령관 재소환…작전준비·은폐 추궁
작전계획부터 '경호처장 김용현'에 비선보고…합참 반대해도 강행 의혹
GPS 조작 등 은폐 정황도…'정보사 외환'·'계엄해제 방해' 의혹 등 조사
  • 입력 : 2025. 07.23(수) 15:10
  • 정유철 기자·연합뉴스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이 지난 17일 내란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3일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지목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재차 소환했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김 사령관을 불러 무인기 작전 준비 및 시행, 이후 보고서 작성 등에 관한 사실관계 전반을 확인하고 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지난해 10월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 조사 중이다.

윤 전 대통령은 ‘북한 무인기 침범’ 사태 직후인 지난 2022년 12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를 찾아 대응 방안을 모색하라고 주문했다.

이 자리에 동행했던 김용현 당시 대통령실 경호처장은 “북한이 5대를 보내면 우리는 100대, 1000대를 보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해 1월 국과연은 실제로 9개월 안에 무인기 1000대를 제작하는 계획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특검팀은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무인기 작전 계획 단계인 지난해 5∼6월에도 공식 지휘계통인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김용대 드론사령관과 관련 보고를 주고받았는지 살펴보고 있다.

당시 경호처장이던 김용현 전 장관은 이후 지난해 9월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고, 다음 달 무인기 투입 작전은 실행됐다. 뒤늦게 작전을 보고받은 합참이 반대 의견을 냈지만, 김 전 장관이 이를 묵살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특검팀은 작전 이후 군이 이를 은폐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인 사실이 있는지도 조사 중이다.

특검팀은 드론사가 지난해 10월 15일 군 무인기 1대만 비행하고도 2대를 비행한 것처럼 내부 문서를 허위로 꾸민 것으로 보고 있다.

10월 8∼9일 북한으로 보낸 무인기 중 1대가 추락하자, 이를 훈련 과정에서 분실된 것처럼 꾸미기 위해 ‘허위 사후 보고서’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특검팀은 드론사가 GPS 기록까지 조작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작전에 투입된 무인기를 비행 훈련에 사용된 것처럼 꾸미려고 군용차에 무인기용 GPS 장치를 장착해 달리는 방식으로 이동 기록을 인위적으로 만들었다는 게 특검팀이 파악한 내용이다.

계엄 해제 이후 군이 전단통을 파쇄하고, 남은 전단은 국군심리전단에 반납하라는 지시를 내리는 등 증거 인멸이 이뤄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특검팀은 이러한 고의적인 은폐 정황을 뒷받침할 증거를 확보하고자 지난 21일 오산 공군기지 내 레이더 시설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특검팀은 김 사령관이 평양 무인기 의혹의 ‘키맨’이라고 보고 지난 20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그러나 법원은 21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거쳐 현 단계에서 구속에 대해 “피의자의 방어권을 지나치게 제한한다”며 이를 기각했다.

특검팀은 국군정보사령부를 중심으로 한 ‘외환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정보사 요원 2명은 지난해 11월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있는 주몽골 북한대사관과 접촉하기 위해 몽골 정부 쪽 인사들을 상대로 공작을 벌이다 몽골 정보기관에 붙잡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군이 비상계엄 선포를 정당화할 목적으로 북한과 통모해 무력 도발을 유도하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이 비상계엄 선포 직전 다녀온 대만 출장에서 계엄 선포에 대한 지지를 부탁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특검팀은 전날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도 조사했다.

특검팀은 여 전 사령관에게 ‘2017년 기무사 계엄 문건’ 등을 제시하면서 해당 내용 등을 검토해 표결 방해를 지시했는지를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 전 사령관 측은 기무사 계엄 문건을 본 적이 없으며, 표결 방해 지시를 내리거나 받은 바가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여 전 사령관을 상대로 평양 무인기 관련 의혹도 질문했지만, 여 전 사령관은 이 역시 알거나 관여한 바가 없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유철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