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관관협회비대위는 이날 호소문을 내고 “광주 여행업계는 지금 심각한 위기에 놓여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단체는 “(광주 관광업계는) 코로나19로 고통받은 3년을 겨우 지났는데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했다”며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은 광주공항 국제선 길을 열어 주는 방법뿐이다”고 말했다.
또 “올해는 광주방문의 해로 광주에서 세계양궁대회선수권대회가 열리는 등 외국인이 많이 찾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무안공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이용객도 광주시민이며, 무안공항을 활성화하는 가장 큰 힘도 여행업계”라며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는 승객 175명·승무원 6명 총 181명이 탑승한 태국 방콕발 무안행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동체 착륙을 하던 중 활주로를 벗어나 시설물과 외벽담장을 충돌했다. 이 사고로 179명이 숨졌으며 광주·전남 지역민은 157명(태국 1명 포함·87.7%)이다. 무안공항은 폐쇄조치 됐으며 광주여행업계는 관광객 감소 등의 피해를 입고 있다.
광주시는 국내선만 운항하고 있는 광주공항에서 국제선을 임시 운항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공항 활주로 길이는 2835m(2본)로 중형 기종을 활용한 동남아·하와이까지 운항이 가능하다. 지난 2007년까지 일본과 동남아 등지를 운항하는 정기편과 전세기가 이·착륙했으며 같은 해 11월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국제선 기능을 넘겼다.
나다운 기자 dawoon.na@jnilbo.com